정부가 올해 192개 생활 SOC 사업에 총 8조6천 억원을 투입할 예정인 가운데 고양시가 주민 숙원 해결을 위한 국비 확보에 팔을 걷었다.
고양시는 예산 투입 한계로 추진하지 못했던 낡은 도서관, 체육센터 건립 등 15개 주민 숙원사업에 대한 530억원의 예산을 정부에 신청한다고 26일 밝혔다.
생활SOC는 도로, 주택 등 대규모 토목공사와 대비되는 생활 속 소규모 편의시설로, 도서관, 체육시설, 상수도, 도시숲 등 저비용 예산으로도 시민이 크게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이다. 시가 계획한 사업의 세부 내역으로는 주민 문화시설로 ‘고양동 도서관, 국민체육센터’와 낡은 창고를 리모델링한 ‘마을공작소(북카페, 영화관 등)가 있다.
13곳의 국공립 어린이집, 4층 규모의 행신 장애인종합복지센터, 청년 창업·교육공간이 될 ’내일꿈제작소‘도 준비한다.
오랫동안 첫 삽조차 뜨지 못했던 ’관산근린공원, 노루뫼 도시공원‘, 협소한 단독주택가의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한 ’화정 은빛근린공원·꽃물공원 지하주차장 사업‘, 도시가스 미공급 지역 LPG 보급사업 등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한 기반시설 마련도 국비에 담아낼 계획이다.
정부는 각 지자체에서 제출한 사업을 검토해 3월 초 생활SOC의 대략적인 밑그림을 완성할 예정이다.
이번에 시가 신청한 사업들을 정부에서 수용할 경우 구도심 등 낙후지역 주민의 생활 인프라가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시의 각 부서는 생활SOC 사업 추진에 있어 갑작스런 준비가 아닌 1년 가까운 꾸준한 준비를 해 왔다.
사업계획 수립과 함께 국·도비 확보를 전략적으로 뒷받침했으며, 정부 공모사업과 연계한 사업지를 물색했다.
또 이번 1회 추경을 앞두고 TF를 구성해 시 자체적인 생활SOC 사업도 추진할 예정이다.
시가 국비 확보에 사활을 거는 이유는 자체 예산만으로는 주민 삶의 획기적 개선이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고양시는 전국 열 손가락 안에 드는 방대한 도시 규모에도 불구하고 재정자립도가 낮다.
각종 규제로 기업이 들어서지 못해 세수 확보가 원활하지 않은것도 문제다.
시관계자는 “이번 예산 확보에 지역구 의원과 함께 역량을 모아 주민 생활 불편도 해소하고, 정부 역점사업인 생활SOC 확충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고양=유제원ㆍ송주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