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대표에 오르며 ‘총선 승리·정권 교체’ 목청
최고위원에 조경태·정미경·김순례·김광림·신보라
비박계 시선 곱지않아… 계파 갈등 해소 급선무
자유한국당 새 당대표로 27일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선출됐다.
‘우파 대통합’을 앞세운 황 전 총리는 이날 오후 고양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현장 투표 및 여론조사 합산 결과 6만 8천713표를 얻어, 오세훈 전 서울시장·김진태 의원(강원 춘천)을 누르고 제1야당의 당권을 거머쥐는 데 성공했다.
‘개혁보수’를 강조한 오 전 시장은 4만2천653표로 2위를 차지했고, ‘보수의 아이콘’을 내세운 김 의원은 2만 5천924표로 3위에 머물렀다. 오 전 시장은 여론조사(민심)에서 황 전 총리에 앞섰지만 당원 선거(당심)에 크게 뒤져 역전에 실패했다.
최고위원에는 조경태 의원(부산 사하을)과 정미경 전 의원(수원무), 김순례(비례)·김광림 의원(경북 안동, 득표순)이 선출됐고, 청년 최고위원은 신보라 의원(비례)이 당선되며 제1야당의 새 지도부를 구성했다.
내년 총선에서 최대 승부처인 경기도는 새 지도부에 다행스럽게도 정 전 의원이 포함되면서 위상 하락은 면하게 됐다.
임기 2년의 한국당 새 지도부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둘러싸고 다시 불거지고 있는 계파 갈등을 해소하고, 극단적 우경화 불식 및 보수·우파 통합과 함께 강력한 대여 투쟁을 통해 내년 21대 총선을 승리로 이끌어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5·18 발언’ 논란을 빚은 김진태 의원과 김순례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어느 것 하나도 녹록치 않아 황 대표의 앞길은 험난할 전망이다.
우선 당내 계파 갈등을 해소해야 하지만 박 전 대통령 탄핵을 부정하는 듯한 발언과 태블릿PC 조작 가능성을 언급한 것에 대한 비박(비 박근혜)계의 시선이 곱지 않다. 자칫 친박(친 박근혜)·비박 간 갈등이 재연돼 내홍에 휩싸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김 의원과 김 최고위원에 대한 징계 문제는 당내 통합과 관련, 첫 시험대로 여겨진다.
앞서 이종명 의원이 제명조치를 받았기 때문에 형평성을 감안, 같은 조치가 내려져야 하지만 당내 반발이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만약 징계를 다르게 하면 형평성 논란이 불가피하고, 징계수위를 낮추게 되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다른 야당의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되는 등 딜레마에 빠질 수도 있다.
보수·우파 통합을 향한 외연 확장의 성공 여부도 관심거리다. 지나친 우경화는 중도층의 이탈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보수통합을 하면서 동시에 중도층도 함께 껴안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내년 총선 성적은 황 대표의 운명을 가름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특히 경기·인천 등 수도권 표심이 황 대표와 한국당에 어떤 평가를 내릴 지도 관전포인트다.
총선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두면 향후 대권행보에도 탄력이 붙을 수 있지만 저조한 성적을 면치 못하면 사퇴 압력에 시달릴 수 있다. 총선에서 친박 프레임에 대한 지속적인 의혹제기와 책임 추궁이 이슈로 부각될 경우, 한국당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당내 우려가 많은 상황이다.
황 대표는 이를 감안, 전당대회 연설에서 통합과 함께 혁신을 강조했다. 그는 “총선에서 압승을 거둬야만, 이 정권의 폭정을 끝낼 수 있고, 정권도 찾아올 수 있다”면서 “그러기 위해, 통합과 혁신의 발걸음, 멈추지 않아야 한다. 더 과감한 혁신으로, 국민의 더 큰 신뢰를 찾아오겠다”고 강조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