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부평역지하상가 각 점포에 이동 경로 순서에 따라 세부주소를 부여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인천시 부평구는 27일 이 같은 내용으로 ‘입체건물(부평역사) 주소체계 개발 시범사업’ 완료보고회를 개최했다.
구는 행정안전부 국비 지원을 받아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컨소시엄에 시범사업을 의뢰했고 이날 보고회를 열었다.
공간정보연구원 컨소시엄은 부평지하상가를 교차 관통하는 길에 도로명 주소와 유사하게 ‘빨강1길’, ‘빨강2길’ 등 이름을 붙인 뒤 경로를 따라 세부번호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상점별 고유번호 대신에 시민이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경로별 번호를 도입하는 내용이다.
또 지하 2층, 지상 8층 규모로 환승역과 상가 등이 들어서 있는 부평역사를 구역별로 구분하거나 경로별 주소에 각 층의 정보를 부여하는 방식 등도 제안했다.
당초 부평지하상가는 상인연합회가 구역별로 부여한 상가번호로 세부주소를 대신해 시민들이 점포별 위치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1978년 입점이 시작된 부평지하상가는 원래 상가 용도가 아니라 방공호로 조성된 탓에 명확한 주소체계가 확립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평지하상가는 국내에서 단일면적 기준으로 최다 점포를 보유한 지하상가로 공식기록을 인증받기도 했다.
부평구 관계자는 “앞으로 정부가 관련 절차를 밟아 체계적인 주소가 도입되면 비상상황 시 대응이나 지하상가 내 시설물 관리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관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