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선거운동이 시작된 첫날부터 제한적인 선거운동 방식에 후보자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28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조합장 후보자들은 선거공보, 선거벽보, 어깨띠ㆍ윗옷ㆍ소품, 전화ㆍ문자메시지, 정보통신망, 명함 등 6가지 방법으로만 조합원들에게 선거운동을 벌일 수 있다. 더욱이 병원, 종교시설, 극장 안과 조합 사무소나 지사무소 건물 안에서의 선거운동은 제한되고 조합원 자택을 호별방문 할 수도 없다.
다수인이 왕래하거나 집합하는 공원 등의 공개된 장소에서 지지를 호소할 수 있지만 쉽지 많은 않다.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한 선거전인 만큼 유권자를 몇 명이나 만날지는 미지수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후보자들은 횟수 제한이 없는 문자메시지 발송과 유선 전화를 선거운동에 적극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후보자들이 조합으로부터 받는 조합원 명단에는 ‘공공단체 등 위탁선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이름과 주소 외에 휴대전화 번호는 기재돼 있지 않아 후보자들의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특히 현직 조합장이 아닌 도전자들의 불만은 더욱 크다.
수원지역 한 단위농협 조합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는 “대다수 조합원의 연락처를 이미 파악한 현직 조합장이 절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이라며 “현재 조합원들의 연락처를 알아보기 위해 수소문하고 있지만 막막하다”고 호소했다.
남양주의 한 조합장 후보자도 “현직 조합장 등 조합장 출마를 오래 준비한 사람은 전화번호 등 데이터 자료를 구축해 놨겠지만, 일반 후보자들은 조합원 정보 접근이 쉽지 않다”며 “조합원 연락처를 주지 않으면 선거운동을 하지 말라는 소리와 다름없다”고 토로했다.
다른 지역 조합장 후보들도 선거 전부터 우려됐던 ‘현직 프리미엄’과 ‘깜깜이 선거’가 현실이 되고 있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용인지역 조합장 후보자는 “지금의 선거 체제는 문제가 많다. 전화와 문자로 하는 선거운동의 역할이 큰데, 현 조합장은 조합원 연락처를 다 알고 있겠지만 일반 후보자들은 그렇지 못하다”며 “현직에게 유리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니 개선이 꼭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안양의 단위농협 조합장 후보자도 “조합장 선거에서 현직에 비해 일반 후보자가 불리한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며 “일반 후보자의 경우 일일이 발로 뛰어다니는 것 말고는 달리 방법이 없는 상황”이라고 답답해했다.
한편 지난 27일 전국동시조합장선거 후보자 등록 마감결과 경기지역은 모두 489명의 후보가 등록, 평균 2.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지역종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