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골목경제의 콘트롤 타워를 맡을 (가칭)경기시장상권진흥원이 오는 7월 순조롭게 출범할 전망이다. 최근 실시된 설립 타당성 조사에서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진흥원은 소상공인 지원업무를 수행, 향후 10년간 6천억여 원의 경제 파급 효과를 일으킬 전망이다.
경기도는 28일 ‘경기시장상권진흥원 설립 타당성 검토용역’ 결과를 공개했다. 앞서 도는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서민경제본부를 확대, 새로운 출연기관을 설립하기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한국종합경제연구원에 연구를 의뢰한 바 있다.
그 결과 B/C(비용편익분석)는 1.51로, 1을 훌쩍 넘기며 경제성이 충분히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NVP(순현재가치)는 1천746억 2천500만 원이었다. 향후 10년간 운영시 생산유발 효과는 3천100억여 원, 부가가치유발 효과는 3천110억여 원으로 각각 계산됐다. 고용유발 효과는 9천200여 명으로 예측됐다.
도는 조례 제정, 행정안전부와의 출자ㆍ출연기관 설립협의 등 절차를 거쳐 이르면 7월부터 진흥원을 운영한다. 진흥원은 경영기획본부ㆍ사업지원본부ㆍ연구교육본부 등 3개 본부, 지역별 5개 센터, 윤리경영실 등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총 인원은 85명이며, 매년 300억 원 안팎의 사업비가 지원된다.
도 관계자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 결과, 81%가 경기시장상권진흥원의 설립을 찬성했다”며 “도민들은 소상공인의 안정적 운영, 지역경제 활성화, 새로운 소상공인 정책 대안 등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올해에만 4천962억 원 상당의 지역화폐를 발행, 2022년까지 1조 5천905억 원 상당의 지역화폐를 발행할 계획이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