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허위조작정보대책특별위원회 위원장인 박광온 최고위원(수원정)은 일본군 성노예 강제 동원 피해자를 모욕한 유튜브 영상의 삭제와 공식 사과를 구글코리아에 요청하겠다고 3일 밝혔다.
박 최고위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구글은 독일 유튜브에 나치 당가를 몇 초간 재생만 해도 삭제 조치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지만 구글 코리아는 국내 역사적 만행을 왜곡하는 허위조작정보들을 방치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허위조작정보대책특위의 모니터링 결과 유튜브 9개 채널을 통해 ‘위안부는 고액 보수를 받는 매춘부였다’는 등의 9개 영상이 생산·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박 최고위원은 지적했다.
그는 “이 중 6개 영상은 ‘한국인의 지어낸 이야기 위안부, 실은 고급 보수를 받은 매춘부였다’ 등의 제목으로 이미 역사적 사실로 증명된 일본의 일본군 성노예 만행을 부정하고 있다”며 “나아가 피해자들에게 ‘성관계를 할 때 못생겨서 얼굴에 봉투를 씌워야 했을 것’이라고 발언하는 등 패륜적인 망언을 일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한국 대기업의 자동차 광고가 기업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영상과 연결되는 등 왜곡된 결과가 양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 최고위원은 “구글 코리아는 대한민국의 역사를 존중해야 할 의무가 있다”면서 “한국 이용자들에게 공식 사과는 물론 해당 영상들에 대해 당장 삭제 조치에 들어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특위는 지난해 10월15일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한 104개 콘텐츠를 구글코리아에 제시하며 삭제를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당시 구글코리아는 자체 가이드라인을 위반한 콘텐츠가 없다며 삭제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