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2023년까지 5년간 3천370억원 수산업 및 어촌 발전에 투입

인천시가 수천억원을 들여 낙후된 어촌 개발은 물론 어민들의 소득향상을 위한 수산업 육성에 적극 나선다.

시는 2019년부터 오는 2023년까지 5년간 3천370억원을 투입하는 제1차 인천시 수산업·어촌 발전계획을 수립·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살고 싶은 어촌, 함께 가꾸는 수산업’을 청사진으로 추진될 이 사업의 3대 목표는 지역 맞춤형 수산업 기반 구축, 풍요롭고 깨끗하고 안전한 바다 조성, 특화된 어촌 개발·관광 육성이다.

시는 어업 생산성이 낮고 거주여건이 불리한 도서지역 어업인들에게 직불금을 지급하고 안전재해보험료를 지원하는 등 어민의 소득 복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또 어촌 환경 개선을 위한 수산 종자 방류, 인공 어초 설치, 어업인 전문기술 교육, 명품어촌 조성, 어촌뉴딜 300사업, 청년 어업인 정착 지원 등 60개 세부 과제를 추진한다.

주요사업을 살펴보면 우선 시는 2021년까지 어업인 소득 증대를 위해 120억원(국비 40·시비 15·군·구 15·자부담 30)을 들여 수산물 산지거점 유통센터(FPC) 2곳을 건립한다.

시는 FPC를 통해 수산물 유통단계를 축소, 신선하고 저렴한 수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한다. 또 인천 수산업 특산물을 직접 가공·유통해 지역상품 브랜드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룬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수산물 산지 가공시설(30억원) 설치와 수산물 위판장 및 수산시장 시설개선(60억원), 수산물 냉동·냉장시설 지원(약 11억원)으로 신선한 수산식품 공급체계도 구축한다.

또 양식산업의 규모 확대와 첨단화 차원에서 50억원(국비 50·시비 50)을 들여 인천수산자원연구소에 친환경 첨단 갑각류 연구센터를 만든다.

이밖에 옹진군에 고부가가치 품종의 양식어장 서식지 6천㎡를 조성(840억원)하고 서해 5도 및 NLL 인근 해역에 백령도~장산곶 사이 해역에 남북 공동어로 시범구역도 운영한다.

시 관계자는 “이번에 수립한 수산업·어촌 발전계획을 통해 2023년까지 수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