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소규모로 추진 중인 원도심 재생사업을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과 연계해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4일 발표한 ‘인천 소규모 재생사업 추진 및 연계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통해 시가 소규모 재생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더불어마을 희망지 사업 및 시범사업’ 확대를 통해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직접 참여해 경험을 쌓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민이 소규모 재생을 통해 경험을 쌓으면, 주민 주도의 대규모 도시재 뉴딜 사업 추진도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연구원은 희망지 사업을 통해 현장 거점 운영과 정기적인 주민 모임 개최를 통해 주민역량강화, 주민공동체 형성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주민이 소규모 사업 단위를 직접 추진하면서 문제점과 지역의 도시재생 잠재력을 스스로 발굴하는 등 학습 효과도 뛰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원은 소규모 도시재생 사업을 확대하면 도시재생 뉴딜 사업으로 자연스럽게 연계하고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상운 인천연구원위원은 “시가 소규모 재생사업의 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며 “시와 군·구 전담부서, 도시재생지원센터 등 관계 기관 간 협업 구조를 앞으로 강화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