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하루 총파업을 선언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이 집회를 열고 ‘노동 개악’ 무력화를 위한 투쟁을 선언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민주노총 총파업·총력투쟁 대회’에서 “노동개악 무력화를 위한 총파업 총력투쟁을 시작한다”며 “민주노총은 탄력근로제 개악 저지 투쟁에 총력 매진하고 최저임금법 개악도 막아낼 것”이라고 밝혔다.
집회는 국회 앞을 비롯해 충북 청주시 상당공원, 경북 포항노동지청, 울산시청, 대전 대덕연구단지 등 전국 14곳에서 동시다발로 열렸다.
다만 핵심 조직인 현대·기아차 노조, 현대중공업 노조 등이 조업을 중단하지 않아 총파업 규모는 크지 않았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이날 민주노총 총파업에 참여한 인원은 30여 개 사업장 3천200여 명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11월 민주노총 총파업 참여 인원은 노동부 추산 기준으로 80여 개 사업장 9만여 명이었다. 당시와 비교해 3∼4%밖에 안 되는 인원이 이번 총파업에 참여한 셈이다.
집회에서 민주노총은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 확대 철회, 최저임금 제도 개편 철회,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과 국내 노동관계법 개정 등을 총파업 요구안으로 내걸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