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교동도 ‘평화산단’ 조성 급물살 다음달 한강하구 민간선박 시범운행
개성 고려 문화유산 공동발굴 추진 한반도 경제·평화·문화 중심지 도약
통일부가 강화 교동도 평화 산단 조성을 위한 통일경제특구법 제정과 한강하구 공동이용, 개성 고려 문화유산 발굴 등 다양한 남북 교류사업을 추진한다.
통일부는 12일 서울 본관에서 2019년 업무보고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19년 통일부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보고했다.
우선 통일부는 통일경제특구법을 제정, 특구 조성을 위한 법적 기반을 마련한다. 통일경제특구법은 군사보호구역 등으로 산업단지 조성이 어려운 지역에 특구를 조성 산업단지 등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통일부는 현재 다수 국회의원이 발의,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계류 중이던 통일경제특구법을 묶어 통합법률안을 상정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통일부는 당초 비무장지대(DMZ)로 한정했던 특구 대상지를 인천까지 포함할 수 있도록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수도권정비법, 군사보호구역 등의 규제로 산업단지 조성이 어려운 교동도를 통일경제특구로 지정, 평화산업단지를 조성한다는 박남춘 인천시장 공약의 발판이 마련될 전망이다.
또 남북 간 협력 강화를 위한 한강하구 민간선박 자유항행 및 남북 공동이용 방안도 마련한다.
이를 위해 통일부는 2019년 4월 중 한강하구에서 민간선박 시범운행을 할 계획이다.
앞서 통일부 등은 2018년까지 이뤄진 남북 공동수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강하구 남북 공동이용 수역에 대한 바다지도를 제작, 북한에 전달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통일부는 개성 고려 문화유산 발굴 등 역사 문화유산 공동 발굴·조사도 추진한다.
강화도는 개성과 같이 고려 도읍지라는 공통점이 있다. 이에 고려 역사를 주제로 한 강화-개성 문화유산교류도 가속화 할 전망이다.
특히 북한의 조선왕릉 6개와 강화도의 고려 왕릉 2개의 세계문화유산 교차 등재 추진 가능성도 있다.
현재 조성왕릉과 고려왕릉은 각각 한국과 북한의 문화유산으로 등재돼 있어 북한의 조선왕릉과 강화도의 고려왕릉은 문화유산 등재에서 제외돼 있다.
통일부는 지방자치단체별 중점 추진사업을 선정해 지자체별 특성에 맞는 독자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인천의 중점 추진 사업으로는 강화도 중심의 고려 역사 문화 교류, 인천-남포 도시 간 교류, 말라리아 방재 사업 등이 거론된다.
통일부 관계자는 “2019년 업무보고 계획을 바탕으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와 공동 번영의 기반을 마련하고, 지속 가능한 남북관계의 토대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