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전국 228개 시·군·구 점검
안산·의정부·군포·오산·과천 1등급
道 “안전한 경기도 만들기 힘쓸 것”
경기도에서 자연재해로부터 가장 안전하지 않은 곳은 가평으로 나타났다. 도내 대부분 시ㆍ군이 지역안전도를 향상시켰지만 안전 취약점이 커진 곳도 다수 확인, 추후 지자체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요구된다.
12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최근 ‘2018 자연재해에 대한 지역안전도 진단결과’를 행정안전부로부터 받았다. 이번 점검은 자연재해대책법에 따라 전국 안전 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228개 시ㆍ군ㆍ구를 대상으로 지난해 10~12월 진행됐다.
진단 방법을 보면 재해 발생 빈도 및 피해액, 인명 피해, 급경사지 붕괴위험지구 개소 등 재해위험요인의 통계적 수치를 정량적으로 채점했다. 또 각종 계획(자연재해저감, 소하천정비, 하수도 정비 등) 수립 여부, 각종 시설(하수도, 배수펌프장, 저류시설) 설치 및 유지 보수, 위험지구(급경사지, 자연재해, 해안재해) 정비 등을 현지 진단했다. 행안부는 그 결과를 안전도 지수로 환산 후 지수별 분류 기준에 따라 안전도 등급(1~10ㆍ낮을수록 안전)을 부여했다.
진단결과, 도내 31개 시ㆍ군 가운데 가평이 유일하게 9등급이었다. 가평은 2017년 6등급에서 3계단이나 떨어졌다. 가평군은 예방시설 정비 등의 분야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어 광명과 구리가 나란히 8등급을 기록했다. 7등급인 6곳의 시ㆍ군에서는 부천과 안성이 무려 4계단이나 하락했다.
반면 안산, 의정부, 군포, 오산, 과천은 1등급으로 전국에서 가장 안전한 도시들로 분류됐다. 특히 군포와 오산은 2017년보다 7등급 상승, 불명예를 씻어냈다. 안산 역시 예방대책 추진과 예방시설 정비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전반적으로 보면 도내 지자체는 안전도가 상승했다. 2017년 10등급이었던 화성과 광주는 각각 7ㆍ5등급으로 올라갔다. 9등급으로 저조했던 남양주, 시흥, 포천, 연천, 양평도 모두 3~5계단 끌어올렸다.
이와 함께 ‘2018년도 자연재해 피해 및 복구 현황’도 공개돼 눈길을 끌었다. 전반적으로 여름철 홍수 외 재해가 발생하지 않으면서 예년보다 피해 규모가 줄었다. 지난해 총 피해 세대 수는 3천500여 곳, 피해액은 199억 원, 피해 농작물은 645ha였다. 이는 예년(최근 9년 평균) 총 피해 세대 수(7천여 곳), 피해액(612억 원), 피해 농작물(1천620ha)보다 적은 수치다. 다만 2013년 이후 첫 인명피해(지난해 6월 호우로 광주에서 사망자 1명)가 발생했다.
도 관계자는 “지난해 하계 홍수로 북부 지역 피해가 발생했지만 시ㆍ군의 예방 정비 등으로 피해를 최소화했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경기도를 위해 더욱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