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첫 해외순방인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3국 순방을 마친 가운데 북미 중재·경제·미세먼지 등 국내외 현안들이 산적, 향후 행보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17일 청와대 등에 따르면 먼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신남방정책 대상 국가들인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캄보디아를 국빈 방문한 문 대통령은 이들 국가들과 인적교류 늘리기, 인프라 투자, 무역규모 확대 등을 통해 성장동력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석유와 천연가스 등 자원 부국인 브루나이와는 LNG 밸류체인을 맺고 가스 탐사와 생산, 수송, 판매 등 생산에서 발전에 이르는 LNG 관련 사업을 일원화해 추진하기로 했다.
말레이시아와는 2조 달러가 넘는 전세계 할랄(이슬람 율법에 의해 무슬림이 먹고 쓸 수 있도록 허용된 제품) 시장 공동 진출과 FTA 협정 체결 등을 협의했고, 캄보디아와는 이중과세방지협정을 맺어 우리 기업들의 해외진출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도록 했다.
문 대통령은 이같은 순방 일정을 마치고 귀국했지만 마음 편히 휴식을 취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북미 정상이 빈손으로 정상회담을 끝낸 ‘포스트 하노이’ 국면에서 북미간 비핵화 대화 재개를 이끌어내는 데 주력할 것이란 관측이다. 이에 문 대통령으로서는 공식일정을 잡지 않은 이날과 18일에 걸쳐 추가로 파악된 상황에 대해 시시각각 보고를 받고 중재안을 정교하게 다듬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를 위해 매주 월요일마다 가졌던 이낙연 국무총리와의 주례회동과 수석·보좌관회의 일정도 생략됐다.
또 문 대통령이 이번 순방을 마치며 SNS를 통해 “순방의 성과가 우리 경제의 활력을 높일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힌 만큼 경제행보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에 경제주체들과의 만남도 이어갈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올해 중소벤처기업인과의 대화, 대기업-중견기업 간담회, 혁신 벤처기업인 간담회 등의 자리를 마련해 왔다. 이달 말에는 외국계 기업인들과의 간담회 개최를 검토 중이다.
아울러 문재인 정부 2기 내각을 책임질 장관 후보자들의 인사청문회 일정이 대부분 확정된 만큼 이 역시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 발언부터 ‘꼼수 증여’, ‘특혜 채용’ 등 의혹이 제기된 상황에서 문 대통령이 국정운영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기 때문이다.
한편 문 대통령은 19일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업무에 복귀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