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 마라톤의총 ‘결론 없음’… 패스트트랙 급제동

내홍만 노출… 김관영 “당 자체 공수처법 관철 요구할 것”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여야 4당의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추진이 20일 바른미래당의 내홍으로 급제동이 걸리고 있다.

바른미래당은 이날 국회에서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패스트트랙 동참 여부에 대해 의견 조율에 나섰으나 실패했다.

바른미래당은 특히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법에 대한 당론을 정하고, 당론이 관철되지 않으면 패스트트랙 절차를 진행하지 않기로 해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이날 4시간 40분 동안 진행된 바른미래당 의총에선 선거제 자체를 패스트트랙에 올리는 것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왔고, 공수처 및 검경수사권 조정 법안을 함께 패스트트랙에 올리는 것을 문제 삼는 목소리도 빗발치는 등 심각한 내홍을 노출했다.

당 지도부는 일단 숨 고르기를 한 뒤 다시 의원총회 열 계획이지만 바른정당 출신 의원들을 중심으로 ‘패스트트랙’ 반대 목소리가 강해 조율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김관영 원내대표는 의총결과 브리핑을 통해 “앞으로 꾸준히 당의 의견을 더 모아나가기로 했다”면서 “오늘 결정된 사항은 공수처법 관련해서 당론을 정하고, 반드시 관철되도록 요구하기로 했다. 이것이 관철되지 않으면 더 이상 패스트트랙 절차를 진행하지 않는 것으로 이야기 했다”고 밝혔다.

바른미래당의 이같은 결정에 여야 4당의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이 물건 너 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바른미래당이 여야 4당의 공동전선에서 이탈하면 사실상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은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

패스트트랙 안건이 의결되려면 현재 298석 중 5분의 3 이상인 179석이 필요하나 한국당(113석)과 바른미래당(29석)을 제외하면 156석에 불과, 최소한 바른미래당 23명이 동참해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일단 바른미래당 지도부와 논의를 계속하면서 향후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방침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공수처 법과 관련, 바른미래당 당론을 일부 수용해 반대파들의 입장 선회를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이날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 “정의당과 민주평화당은 이미 의결을 했고 당론으로 채택을 했다”면서 “바른미래당의 경우 당내에서 이런 저런 얘기가 나오는 건 사실이지만 최종적으로 채택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기대감을 표했다.

반면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긴급의원총회에서 “독재 선거제를 날치기 처리한다면 이것은 패스트트랙이 아니라 흑사병 패스트트랙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특히 “좌파독재 패스트트랙을 그저 눈앞에 보고만 있을 것인지, 가슴에 단 의원배지를 떼고라도 우리가 모든 의원직을 사퇴하겠다는 그런 각오로 임해야 된다”고 거듭 결의를 다졌다.

김재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