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최저임금 급등 여파로 영세 자영업자 매출 20% 줄어

골목 상권을 대표하는 영세 점포는 도산 직전의 위기인데 반해 대형 점포는 오히려 성장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유섭 의원(인천 부평갑)이 여신금융협회로부터 받아 공개한 8개 신용카드사 매출 자료에 따르면 전체 가맹점의 48.3%에 달하는 연매출(카드 사용액 기준) 5천만원 이하 영세 점포의 지난 1월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21.4% 급감했다.

또 소상공인 관련 유통(36%), 숙박(27.1%), 음식점(27.8%), 의류 등 10개 업종에 포함된 영세 가맹점들의 1월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평균 24.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전남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영세 점포의 월평균 매출이 15.0%에서 27.7%까지 큰 폭으로 떨어졌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올해 대폭 오른 최저임금 인상 등에 따른 비용 증가로 영세 자영업자들의 매출이 급감하는 반면 대형 점포는 매출이 늘어 소득 양극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지난 1월 연매출 5천만~1억원 점포의 매출은 5.4% 감소했고, 1억~2억원 점포는 1.4% 감소했다. 이에 반해 5억~30억원 점포는 0.7% 증가했고, 30억~500억원 점포는 1.5%, 100억~500억원 점포는 5.5% 늘었다. 영세 자영업자들이 만성부진과 인건비 증가로 영업시간을 줄이고 매장문을 닫게 되면서 영업시간을 줄이지 않은 주요 상권의 대형 점포가 반사이익을 얻은 셈이다.

정 의원은 “지난해 11월 정부가 5억원 이하 중소 및 영세 가맹점을 제외한 연매출 5억~500억원 가맹점을 대상으로 한 수수료 인하 조치가 오히려 소득 불균형을 심화시킨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최저임금 대폭 인상이 소득이 낮은 계층을 더욱 빈곤하게 만들고 있다”며 “정부는 ‘소득주도 성장’의 부작용을 인정하고 당장 수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소상공인연합회가 회원 사업체 1천204개를 대상으로 벌인 최저임금 실태 설문조사에서 26.4%가 “영업시간을 줄였다”고 답했다. “직원을 줄였다”는 자영업자도 16.9%를 차지했다.

김서윤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