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평화수역 ‘남북공동순찰대’ 백령도에 ‘전진기지’ 만든다

평양 남북정상회담 후속 조치
공동어로구역 설정 합의 따라 2022년까지 용기포항에 조성
해경, 250t급 경비정 3척 투입

해경이 서해 평화수역에서 남북공동순찰대를 운용하기 위해 백령도에 전진기지를 구축한다.

21일 해양경찰청 등에 따르면 해경은 오는 2022년까지 인천시 옹진군 백령도 용기포항 일대에 남북공동순찰대의 전진기지를 만들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9월 19일 평양 정상회담을 계기로 채택된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분야 합의서’를 통해 남북이 서해 평화수역을 조성하고 이 수역 안에 시범적으로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남북공동순찰대의 우리 측 경비세력은 당시 남북 합의에 따라 250t급 경비함정 3척으로 운용된다.

북한도 같은 규모의 경비함정 3척을 운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250t급 경비함정 1척당 신규 건조 비용으로 250억원이 들기 때문에 총 750억원의 예산이 들어간다.

남북공동순찰대는 서해 평화수역이 조성되면 불법 외국 어선을 차단하고 조난을 하거나 표류한 어선을 구조하는 임무를 맡는다.

백령도 전진기지는 해경 함정 전용부두와 함께 사무실과 생활관 등 순찰 대원들이 생활할 3층짜리 건물로 지어질 예정이다.

예산은 건물 건축비 등으로 150억원이 들 것으로 예상하며 전용부두 건설은 해양수산부의 연안항만개발계획에 따라 별도 예산으로 추진된다.

해경청은 남북공동순찰대 운영과 전진기지 구축을 위해 지난해 말부터 본청 경비국장을 팀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관련 사항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인천시도 올해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인천형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한다.

시는 이날 평화도시조성위원회(조성위원회) 첫 회의를 개최하고 남북교류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조성위원회는 이날 회의에서 올해 사업으로 인도적 지원 및 사회·문화·체육·수산·환경 교류, 통일공감사업 등에 필요한 예산 16억5천800만원에 대한 안건 등을 심의했다.

이에 따라 시는 대북제재가 완화되지는 않았지만, 대북제재 상황에서 실현 가능성이 있는 사업 위주로 북한과의 교류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프로축구단 인천유나이티드와 북한 축구팀과의 친선경기, 말라리아·결핵 예방치료사업, 강화·개성 연계 학술회의 등이 교류사업 대상이다.

시 관계자는 “올해 인천형 남북교류협력사업의 실질적인 진전과 통일공감대 형성을 위한 공청회 개최 등을 활발히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송길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