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피프틴 사업, 막대한 혈세 낭비되단 폐지 여론 확산

10년 전 친환경 자전거를 새로운 교통수단으로 이용하기 위해 시작된 고양시의 공공자전거 임대사업인 ‘피프틴 사업’으로 인해 막대한 혈세가 낭비되고 있다며 해당 사업에 대한 폐지 여론이 커지고 있다.

25일 고양시 등에 따르면 피프틴 사업은 차를 타지 않고 집과 가까운 정류장, 전철역, 공원, 백화점 등을 오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개념의 자전거 임대사업이다.

지난 2010년 6월 고양시가 삼천리자전거 등 기업과 협약을 체결, 116억8천여만 원의 자본금으로 시작해 별도의 법인 에코바이크㈜가 운영을 맡고 있다.

해당 사업의 최소 운영비는 연간 50억 원 규모로, 시는 40%를 자전거 이용요금으로 충당하고 60%를 광고 등 부대사업으로 마련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업을 시작한지 3년만에 자본금이 잠식상태가 되면서 시가 매년 27억 원의 재정지원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내년이면 계약기간도 만료돼 시가 전체 운영을 떠 맡아야 할 처지에 놓였다.

이 때문에 시 내부에서도 해당 사업을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고양시공무원노동조합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피프틴 사업은 당초 계획과 달리 광고 수익은 거의 없는 등 5년 전 폐지했어야 하는 사업”이라며 “사업계획서 자체가 명백한 오류이고 경영정상화의 대안이 없는 등 오류를 넘어선 왜곡이 의심된다”고 밝혔다.

또 고양시의회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들 역시 최근 성명서에서 “2020년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피프틴 사업의 존폐를 결정해야 하는 시기가 다가온다”며 관련 내용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사업 폐지 주장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해당 사업이 처음 시작될 당시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인식하고 있다”며 “하지만 시민을 위한 공공의 목적 등 여러가지 측면을 고려해 합리적인 운영 방안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고양=송주현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