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금융서비스 중장년층에 빠르게 확산…50대 이용자 절반 넘어

모바일 금융서비스가 중장년층에도 빠르게 확산하며 모바일뱅킹을 이용하는 50대의 비율이 50%를 넘어섰다.

그러나 60대 이상의 고령층에서는 여전히 이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6일 발간한 ‘2018년 지급결제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3개월 내 모바일 금융서비스 이용경험이 있다는 응답자 비율은 63.5%로 1년 전보다 15.2%포인트 상승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0월∼12월 2천597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서비스별로는 잔액 조회, 계좌이체, 현금인출 등 모바일뱅킹이 57.9%, 모바일 기기로 상품 구매 대금을 지급하는 모바일 지급서비스가 44.9%로 각각 11.9%포인트, 18.8%포인트 올랐다.

연령대별로는 50대의 모바일뱅킹 이용률이 눈에 띈다. 50대의 모바일뱅킹 이용률은 전년 33.5%에서 지난해 51.8%로 18.3%포인트 뛰었다. 30대(89.3%)는 17.5%포인트, 40대(76.9%)는 15.7%포인트, 20대(79.6%)는 5.6%포인트 각각 올랐다.

60대 이상에선 13.1%만이 모바일뱅킹을 이용해봤다고 답했다. 60대도 1년 전보다는 7.6%포인트 상승했다.

모바일 지급서비스 이용률은 20대(53.6%→80.8%), 30대(50.6%→78.2%), 40대(28.0%→54.0%)에서 크게 확대했다. 50대 이상(26.2%)은 17.7%포인트, 60대 이상(6.7%)은 4.6%포인트 올랐다.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처음 이용한 배경으로는 가격 할인 및 포인트 적립 등 ‘경제적 혜택’이 가장 많이 꼽혔고,

계속해서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유로는 ‘서비스의 편리성’이 가장 많이 선택받았다.

모바일 지급서비스 중에서는 간편결제 이용 경험 비율이 29.6%로 가장 높았다. 휴대전화 소액결제가 28.3%, 간편송금 23.5%, 앱카드 15.3%로 그 뒤를 이었다. 간편결제를 지급수단별로 구분해 보면 신용카드(84.9%)가 가장 높았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금융서비스의 모바일화 진전으로 고령층의 금융서비스 접근성이 제한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할 것”이라며 “모바일 지급서비스 간편결제는 여전히 신용카드에 의존하고 있어 모바일 지급서비스 확산이 아직 지급서비스 시장의 구조적 변화로 이어지진 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홍완식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