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락용 도의원 “사무관리비 지출 0.5% 불과… 일부 실국 0원”
김희겸 부지사 “구매 가능한 물품 파악해 활성화 노력하겠다”
경기도가 도내 소상공인에 대한 경영개선비용 지원방안에 나섰는데도 불구 정작 도청 실국의 전통시장 물품구입이 전체의 1%에도 못 미친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기도의회 권락용 도시환경위원회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성남6)은 “지난 민선 6기 경기도가 전통시장을 살리겠다고 큰소리를 쳐왔지만 정작 물건을 살 때는 대형마트나 SSM(대형슈퍼마켓), 인터넷 구매를 이용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부위원장이 도에게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8월 31일까지 경기도청 34개 기관 실국별 사무관리비 지출은 대형마트 33%(5천391만 원), SSM 5.5%(891만 원), 인터넷 63%(1억 294만 원)인 반면 전통시장은 0.5%(74만 원)에 불과했다.
특히 감사관, 건설국, 경제실, 교통국, 기획조정실, 도시주택실, 보건복지국 등 대다수의 실국에서 전통시장 지출액이 0원이었다.
이에 대해 권 부위원장은 “지출내역을 확인해 본 결과 일회용 커피, 종이컵, 다과, 휴지 등의 품목을 구입했다.이런 품목들은 전통시장에서도 충분히 구매할 수 있는 품목들이라 생각된다”며 “도가 지금이라도 구매 가능한 물품 등을 사전 조사해 전통시장 살리기에 앞장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 권 부위원장은 “지난 2012년 경기도 유통업 상생협력 및 유통분쟁에 관한 조례에서 준대규모점포에 대한 영업시간 제한이나 의무휴업일 지정에 대해 지역실정에 맞게 정해 운영하도록 권고했지만, 2015년 개정되면서 의무휴업 권고 항목이 전부 삭제됐다”며 “전통시장 활성화 노력으로부터 물러났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김희겸 도 행정1부지사는 “전통시장의 구매가 적은 것 같다. 앞으로 좀 더 전통시장 활성화를 이루도록 노력하겠다”며 “일회용 커피 등 가능한 물품을 전통시장에서 구입토록 하고 비율을 점차 늘려나가겠다”고 답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