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오는 10∼11일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한미정상회담을 갖기로 한 것과 관련, 일제히 환영의 뜻을 표했다.
다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한미 간 공조강화’에 초점을 둔 데 비해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북핵 폐기를 위한 대책 마련’에 방점을 뒀다.
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지난 29일 서면 브리핑을 내고 “한미정상회담 개최 소식을 환영한다”면서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7번째 갖는 정상 간 회담을 통해 한반도 현안에 대해 한미 간 공조를 더욱 굳건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그는 이어 “민주당과 문재인 정부는 한반도 문제 해결의 당사자이자 북미 대화의 촉진자로서, 4.11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고 강조했다.
한국당 민경욱 대변인(인천 연수을)은 구두 논평에서 “(2차) 북미회담 결렬 이후 한반도 주변 정세가 엄중한 상황”이라며 “한미정상회담을 계기로 실질적인 북핵 폐기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굳건한 한미공조를 다시 확인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특히 “한미정상회담이 국내 정치에 활용하기 위한 행보가 아니라 오직 실질적인 국익을 위한 만남이 되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 이종철 대변인은 논평은 내고 “북핵 문제가 꼬이고 있는 상황에서 유효적절한 회담이 잡혀 다행”이라며 “한미공조와 방안 모색의 중요한 자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그동안 한미 간 엇박자와 공조 균열에 우려가 많이 제기돼 왔다”면서 “회담을 통해 생각을 맞추고 행동을 일치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민주평화당 박주현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이번 정상회담이 그간 세간에 나돌던 한·미 불화설을 일소하고,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간 협상을 다시 제 궤도에 올려놓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의당 최석 대변인 역시 환영 입장을 밝히며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평화 문제를 두고 한미 간 공조 체제에 균열이 간 것 아니냐는 우려 역시 불식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