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기도 수소차 보급과 인프라 확충에 속도내야

극심한 미세먼지에 친환경차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특히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수소차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소차는 주행 시 산소가 공급돼 경유차 2대 분의 미세먼지를 빨아들여 ‘달리는 공기청정기’라고 불린다. 수소차 한 대가 1㎞를 달리면 미세먼지를 최대 20㎎ 줄일 수 있다고 한다.

많은 선진국들이 ‘수소사회’로 가고 있다. 일본과 중국, 유럽, 미국 등은 세계 수소차 시장을 놓고 패권 다툼이 치열하다. 이들 국가는 수소차 관련 인프라를 구축, 수소차 산업의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 2020년까지 수소차 대중화를 목표로 세운 일본은 지난해 기준 수소충전소 113곳을 운영 중이다. 한국의 16곳에 비하면 차이가 크다. 중국도 2030년까지 수소차 100만 시대를 공언하며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차가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 상용화에 성공, 최고 수준의 기술을 가졌지만 일본과 중국의 맹공략으로 글로벌 경쟁에서 밀리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수소차 확대를 위한 법적ㆍ제도적 기반이 경쟁국들에 못미치는 등 각종 인프라 부족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정부가 올해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통해 2025년까지 수소차 10만대 양산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수소차를 2040년까지 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 등 600만 대 이상으로 늘리고 수소충전소도 1천200개소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수소택시와 수소버스, 수소트럭들로 도로를 채우겠다는 것이다.

이 계획이 제대로 실현될 지는 미지수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수소차 보급목표(1천대)의 70%(727대) 수준에 머물렀다. 충전소도 전국 16곳으로 턱없이 부족하다. 그나마도 5곳은 연구용으로 일반인 사용이 어렵다. 경기도와 도내 시ㆍ군도 수소차 보급과 수소충전소 설치에 소극적이다. 도가 수소차 보급을 위해 각 지자체와 차량 보조금 지원에 나서고 있는데 올해 수소차 구입 희망자에 대한 지원은 200대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전국 4천대의 5% 수준으로 울산 1천대, 광주 650대, 경남 510대, 부산 360대 등에 비하면 너무 적다. 수소차 지원금도 경기도는 1천만원으로 강원 2천만원, 전북 1천350만원, 대전 1천300만원 등에 비해 크게 낮다. 수소차 충전소는 단 하나도 없다. 평택시가 올해 충전소 2개를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부지 선정도 못했다.

수소차 확대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충전소를 늘리는 등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 도와 시군의 지원금도 늘릴 필요가 있다. 수소차 보급 확대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완화도 시급하다. 지자체와 공공기관부터 관용차를 수소차로 교체하는 등 수소사회 진입에 속도를 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