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송도서 ‘국가관광전략회의’ 주재] 인천, 서울·제주 이어 ‘세계관광도시 도약’ 청신호

연내 광역지자체 1곳 추가 선정에 인천시 예감
예산 200억 투입… 항공·크루즈 노선 등 확충
세계 유일 분단국가, 평화·생태관광 적극 지원

문재인 대통령이 이낙연 국무총리, 박남춘 인천 시장과 2일 오후 인천광역시 송도 경원루에서 확대 국가관광전략회의 전 센트럴파크를 내려다 보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이낙연 국무총리, 박남춘 인천 시장과 2일 오후 인천광역시 송도 경원루에서 확대 국가관광전략회의 전 센트럴파크를 내려다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이 서울과 제주도에 이어 국내 3번째 세계관광도시로 선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재인 대통령은 2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경원재에서 직접 주재한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정부는 우선 광역지자체 한 곳을 서울과 제주에 이은 세계 관광도시로 키우고, 기초 지자체 4곳을 지역 관광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국가관광전략회의는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직접 주재한 회의인데다, 인천 관광의 상징인 송도국제도시에서 열렸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광역지자체 한 곳’이 인천시의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앞선 1일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지를 인천의 유치 경쟁 도시인 부산으로 결정한 것도 인천의 세계관광도시 육성 가능성을 뒷받침 하고 있다.

인천과 부산이 세계관광도시 육성과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를 놓고 경쟁을 벌인 만큼 형평성이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은 이어 “외국 관광객들이 찾는 지역이 주로 서울과 수도권, 제주와 부산 정도로 한정돼 있다”라며 “의료관광, 해양관광, 체험관광, 크루즈관광, 음악관광 등 지역에 특화된 콘텐츠를 중심으로 지자체(인천시)가 관광산업의 주체가 돼 달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DMZ 안보관광에서 연간 최대 317만 명의 관광객을 기록한 사실을 언급하면서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 지구 최후의 냉전지 한반도는 역설적으로 평화관광, 환경생태관광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여기에 평화, 생태관광이 더해진다면 한반도 평화가 무르익을수록 관광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 “우리 세대가 겪었던 분쟁의 시대, 자연 파괴의 시대를 벗어나 미래 세대가 평화와 안보를 함께 생각하고 깨끗하고 아름다운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평화관광, 환경생태관광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관광산업이 경제발전의 핵심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류가 만드는 대한민국에 대한 호감은 더욱 폭발적”이라며 “열광적인 한류 팬들에게 한국은 가고 싶은 여행지”라고 강조했다.

국제 관광도시는 서울, 제주에 이어 세계적 관광도시로의 잠재력을 보유한 광역시를 대상으로 1곳을 올해 안에 선정할 예정이다.

문체부에 따르면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78%가 서울을 찾을 만큼 쏠림 현상이 심하다. 이에 정부는 국제 관광도시를 별도로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국제 관광도시에는 항공과 크루즈 노선이 확충되고 스마트 관광을 위한 환경이 정비된다. 관련 예산은 200억 원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다.

지역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담당할 ‘관광거점도시’도 4곳을 선정한다. 일정 수준의 기반시설과 관광 매력을 갖춘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은 뒤 심사를 거쳐 후보지를 확정할 예정이다.

이밖에 노후관광지를 재생해 체류형 여행지로 육성하고, 숲 체험, 농촌체험, 낚시체험 등 다양한 체험형 지역 관광 프로그램도 발굴할 계획이다. 지역관광의 교통·안내 시스템을 정착시키고 공공 와이파이 확충 등 스마트 관광환경 조성도 병행할 방침이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