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의 시선이 집중됐던 ‘4·3’ 국회의원 보궐선거 결과, 진보정당과 보수정당이 각 1석씩 당선되는 무승부를 기록해 향후 정국의 주도권을 놓고 양측간 힘겨루기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3일 치뤄진 경남 창원성산과 통영·고성 보궐선거에서, 창원성산은 더불어민주당·정의당 단일후보인 정의당 여영국 후보가 자유한국당 강기윤 후보 등을 극적으로 따돌리고 당선됐고, 통영·고성은 한국당 정점식 후보가 민주당 양문석 후보 등을 누르고 당선의 영예를 안았다.
창원성산은 정의당 노회찬 전 의원의 사망으로, 통영·고성은 한국당 이군현 전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치뤄진 것이어서 양측 모두 지역구 사수에 성공한 셈이다.
여당인 민주당은 통영·고성에서 패했지만 창원성산에서 정의당과의 단일후보가 승리, ‘체면치레’를 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민주당내에서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통영시장·고성군수를 배출하고 한국당이 후보 공천 후유증을 겪었던 통영·고성에서 ‘통영 대(對) 고성’의 지역 간 대결구도를 더욱 활용했다면 이길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도 나온다.
한국당에서도 창원성산에서 지역경제의 어려움을 더욱 부각시키고, 민주당과 정의당 간 후보단일화를 더욱 강력하게 비판했다면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등 민주당과 한국당 모두 선거 결과에 일부 아쉬움을 피력하고 있다.
여야는 이번 선거 막판까지 중앙당 차원의 지원 유세에 총력을 기울였다.
경기·인천 의원을 포함, 소속 의원들이 대부분 내려와 지원한 것은 물론 각 시·도당을 통해 원외 위원장들에 대한 총동원령도 내렸었다. 선거기간 내내 민주당은 ‘힘 있는 여당’, 한국당은 ‘정권 심판론’을 각각 강조하며 첨예하게 대치했다.
내년 21대 총선을 1년 앞두고 치뤄진 이번 선거 결과,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음에 따라 민심 확보를 위한 여야의 공방은 더욱 뜨거워질 전망이다.
김연철 통일부·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조국 민정수석·조현옥 인사수석 등을 둘러싼 민주당과 한국당 간 공방은 물론 여권이 추진하는 개혁입법,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 쟁점 현안을 놓고 대치전선이 더욱 가파르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창원성산을 사수한 정의당의 경우, 6석으로 늘어나면서 14석인 민주평화당과의 원내교섭단체(20석) 재구성 문제도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민주평화당 내부에서 ‘교섭단체 구성으로 실익이 없었다’는 주장도 제기돼 실제 교섭단체 구성까지 이어질지 주목된다.
바른미래당은 손학규 대표가 상주하면서 지원했던 창원성산 이재환 후보의 최종성적을 놓고 ‘그래도 선전했다’는 평가와 ‘크게 미흡했다’는 평가가 엇갈리면서 당내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