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내 한시기구인 철도국을 상시기구로 전환하는 것을 넘어 ‘철도항만물류국’으로 개편하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육상물류와 항만물류의 일원화를 통한 복합물류운송체계를 강조했다.
도의회 건설교통위(위원장 조재훈)는 4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경기도가 오는 6월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벌이는 가운데 한시기구인 철도국은 오는 9월 30일 기한 만료를 앞두고 있다. 2009년 출범 이래 철도국은 5차례 유지 기한이 연장된 만큼 상시기구로 전환이 안 되면 조직 자체가 소멸할 수 있다.
이에 조재훈 건설교통위원장(더불어민주당ㆍ오산2)은 “전체 인구의 4분의 1이 거주하는 경기도는 수도권의 특성상 철도 교통분담률이 매우 중요하다”며 “그러나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할 철도국이 한시기구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는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철도국의 상기기구 전환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힘줘 말했다.
이어 조 위원장은 “현재 육상물류와 항만물류가 각각 철도물류정책과(철도국)와 해양항만정책과(농정해양국)로 이원화됐다. 물류는 육상물류와 항만물류가 일원화됐을 때 그 시너지 효과가 창출될 수 있다”며 “육상ㆍ항만물류 업무의 통합을 통해 내륙 물류단지 연계 복합물류운송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1천350만 경기도민을 위한 철도건설 및 운영기능을 강화한 철도국의 상시기구 개편과 장기적으로 철도항만물류국으로 확대 개편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건설교통위는 이 같은 주장의 근거로 ▲과거 철도국이 항만물류 기능을 포함해 운영된 적이 있던 점 ▲평택항, 육상, 철도를 하나로 묶는 내륙 물류단지의 중요도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개통예정인 하남선, 별내선, 도봉산~옥정선의 정상화를 위한 경기도의 컨트롤타워 역할 시급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 관계자는 “철도국의 상시기구 전환 필요성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한다”며 “그러나 철도항만물류국은 아직 검토된 바 없어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