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할리는 희생양? 마크 피터슨 美교수 주장 파문

마크 피터슨 교수. 연합뉴스
마크 피터슨 교수. 연합뉴스

마약 투약 혐의로 체포된 방송인 로버트 할리(한국명 하일·60)의 친구 마크 피터슨 미국 브리검영대 명예교수(73)가 “경찰이 증거도 없이 로버트에게 마약 투약 진술을 강요했다”고 주장했다.

피터슨 교수는 9일 연합뉴스와의 국제통화에서 “6개월 전 경찰에 다른 연예인이 마약 혐의로 체포됐다. 그 연예인 이름은 알지 못하지만 그가 잡혔을 때 경찰이 마약을 한 다른 사람들 이름을 대면 형량을 가볍게 해주겠다며 회유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경찰은 로버트가 마약을 했다는 아무 증거를 갖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 사건을 마무리했다. 그게 지난해 10~11월”이라며 “로버트가 의심받는 동안 얼마나 힘들었는지 내게 얘기했다. 자신은 그곳(마약 투약 현장)에 없었다고 이야기했는데 경찰들이 로버트가 유죄라고 확신하며 진술을 강요했다고 한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경찰들은 로버트에게 정말 예의 없이 굴었고, 최근 한국 연예인들의 마약 사건이 다시 터지면서 경찰 고위층이 연예인 마약을 잡기 위해 사건을 찾던 중 로버트를 다시 대상으로 잡고 수사를 지시한 것 같다”고 추측했다.

피터슨 교수는 “수사관들은 증거가 없다고 이미 얘기했지만 고위 경찰이 다시 요구해 그가 다시 잡혀들어간 것으로 보인다”라고도 강조했다.

피터슨 교수는 또 로버트 할리가 마약 투약을 했다고 알려진 정황 자체도 이상하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보통 마약을 산다고 하면 어떤 사람으로부터 구매하지 인터넷으로 주문하지는 않는다. 또 마약을 집에서 발견했다는데 침대 밑에서 마약이 나온 건 말이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누군가에게 마약 혐의가 있는데 그것을 로버트가 뒤집어쓴 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 (마약을 한 사람이) 그의 아들일 수도 있다”라고 했다.

이와 관련, 온라인에서는 할리씨가 아들 대신 마약 혐의를 대신 뒤집어썼다는 루머가 퍼졌고 이에 부인 명현숙씨는 이날 한 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조금도 사실이 아니다”라며 “의심할 가치도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내 한국학의 대가로 꼽히는 피터슨 교수는 미국 변호사 출신으로 1990년대 귀화한 로버트 할리와 같은 몰몬교 신자로 오랜 기간 친분을 다져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