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20% 낮추는 빌레나무란?

빌레나무. 환경부 제공
빌레나무. 환경부 제공

빌레나무가 실내 초미세먼지(PM-2.5)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확인돼 정부가 빌레나무 보급 시범사업을 확대한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해 8월부터 7개월간 서울 삼양초등학교 2개 학급에 빌레나무 500그루를 제공하는 시범사업을 했다.

그 결과 빌레나무가 보급된 교실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다른 교실보다 평균 20% 낮게 나타났다. 보급된 교실의 습도는 다른 교실보다 평균 10∼20% 높았다.

빌레나무를 보급한 학급 학생들의 교실 환경 만족도 역시 92.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빌레나무는 숲 가장자리에 자라는 상록 덩굴성 떨기나무로 제주도 서부 지역에 일부 자란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빌레나무를 대량 증식해 사용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충북대 연구진과 2017년 10월부터 1년 5개월간 실내 공기 질 개선 효과가 뛰어난 자생식물을 탐색하는 연구를 해왔다.

그 결과 빌레나무가 총휘발성유기화합물, 이산화탄소, 미세먼지 등의 농도를 낮추는 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이달 중 서울시 금천구 꿈나래어린이집을 시범사업 대상지로 추가 선정하고 빌레나무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실내 공기 질 개선 효과가 우수한 식물을 계속해서 찾아내 영유아, 학생, 어르신 등 민간계층이 많은 곳을 위주로 보급할 방침이다.

서흥원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활용부장은 “빌레나무가 실내에서 주로 생활하는 국민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