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포승공단 미세먼지, 중앙 정부 정책 뒷받침 없으면 개선 어려워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전경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전경

중앙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이 병행되지 않으면 평택 포승공단 일대의 미세먼지를 줄이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은 11일 지난 2015년부터 2016년까지 포승공단 내 대기오염측정소에서 주기적으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한 ‘평택지역의 미세먼지(PM-10) 오염원 기여율 평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질산염 및 황산염에 의한 ‘2차 미세먼지 생성물질’이 전체의 38.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생물상연소(17.6%), 운송 및 교통부분 대기오염물질(12.2%), 토양관련 미세먼지(12.0%), 해염(9%), 산업 관련 대기오염물질(7.61%), 소각시설(3%)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2차 미세먼지 생성물질’과 ‘운송 및 교통부문 대기오염물질’ 등 오염원의 절반가량은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는 등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 없이는 줄이기 어려운 항목이다. ‘생물상연소’와 ‘토양관련 미세먼지’ 등은 지자체 차원의 단속을 통해 줄일 수 있다.

도 관계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 평택시 포승공단 일대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정책적인 뒷받침과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리 감독이 병행돼야 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며 “저감이 가능한 미세먼지 발생원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를 통해 미세먼지를 줄이는 한편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책건의도 꾸준히 진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미세먼지 기여율 평가’는 중금속, 이온, 탄소 성분을 장기적으로 측정하고 모델링하는 평가시스템이다. 다양한 미세먼지의 발생원인을 규명할 수 있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추진하는 각종 정책에 유용하게 활용될 전망이다.

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