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독립운동가 및 강제이주 한인동포 후손 100여명이 함께한 <코리안 디아스포라, 위대한 여정>이 6박7일간의 일정을 마무리 지었다.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은 3ㆍ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기념해 재외동포 후손들을 초청,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3ㆍ1운동 및 임정100주년 기념식과 다양한 학술 및 문화예술 행사를 개최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는 한민족의 혈통을 가진 사람들이 모국을 떠나 세계 여러 지역으로 이주하여 살아가는 ‘한민족 이산’을 의미한다. 19세기 중반 만주로의 이주로부터 시작되어 일제강점기를 거쳐 1945년 해방 이전까지 조국을 등져야 했던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역사는 오늘날 그 수가 750만 여명에 이른다.
이번 행사는 재외동포들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민족적 동질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기획했다.
행사에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중국, 일본, 쿠바 등 7개국 디아스포라 후손이며 문화·예술·학계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인 2~4세들이 참석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러시아(우스리스크) 고려인문화센터의 아리랑 무용단(25명) ▶우즈베키스탄(타쉬겐트) 고려인협회 앙상블(20명) ▶키르기스스탄(비슈케크) 고려인협회 앙상블(15명) ▶카자흐스탄(카라간다) 한국문화원 무용단(21명) ▶일본(오사카) 코리아NGO센터 금강학교 청소년 공연단(17명) ▶중국(연변) 연변대학교 허명철 교수 ▶쿠바(아바나) 호세마르티 한국문화클럽(5명) 등 105여명이다.
이들 초청단은 행사 기간 동안 수원화성과 남한산성 등 도내 세계문화유산과 박물관·명소를 탐방하고 모국의 문화를 체험하는 한편 각국 동포사회에 이어져 온 한민족의 전통 및 생활예술 공연을 선보이는 등 문화교류에도 힘썼다.
특히 지난 11일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 야외공연장에서 열린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식’에도 참석해 ‘코리안 디아스포라’ 축하공연에 나서는 등 예술을 통한 한민족의 평화와 번영의 메시지도 전달했다.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삶과 역사, 활동상을 소개하고 한민족의 정체성을 공감할 수 있는 간담회와 국제 학술컨퍼런스도 연이어 열렸다.
10일 오후 5시부터 디아스포라 초청단과 관계자 150명이 참석한 가운데 ‘우리가 살아온 백년의 역사, 함께 살아갈 천년의 미래’를 주제로 한 네트워크 간담회와 환영만찬이 수원 라마다 호텔에서 진행됐다.
12일에는 수원컨벤션센터 4층 회의실에서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미래, 플랫폼으로서의 경기도’를 주제로 국제 학술컨퍼런스가 개최됐다.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시대 선도 지자체이자 ‘K-네트워크’의 구심점이 될 경기도의 재외동포 지원 정책개발의 방향과 과제들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경기문화재단 관계자는 “한민족의 국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평화와 번영의 미래 시대를 설계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면서 “이번 행사가 불행한 이산과 분단의 역사를 극복하는 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