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입주기업 10곳 중 8곳은 폐쇄 이후 경영 상황 악화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기업들이 여전히 경영자금 확보가 가장 어렵다고 호소해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1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개성공단 입주기업 108개사를 대상으로 한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경영환경 및 향후전망 조사’에 따르면 현재 입주기업 중 86.2%가 개성공단 중단으로 경영상황이 악화 됐다고 밝혔다. 응답기업 중 76.9%는 ‘중단 이전 대비 악화’됐다고 했으며, ‘사실상 폐업 상태’라고 응답한 기업도 9.3%에 달했다.
입주기업들이 경영상 가장 어려운 점은 ‘노무비 등 경영자금 부족’(61.1%)으로 나타났으며 ‘거래처 감소에 따른 주문량 부족’(23.1%), ‘설비 부족’(13.0%) 등이 뒤를 이었다.
중기중앙회는 “지난 2016년 2월 개성공단이 폐쇄된 이후 정부가 기업 지원금으로 약 5천500억 원을 투입했지만, 여전히 입주기업들의 경영환경은 불안정한 만큼 개성공단 재가동 등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불구하고 공단 재입주의 희망을 놓치 않았다.
재입주 의사를 가진 응답기업은 98.2%로 거의 모든 기업이 개성공단 재가동에 대한 높은 기대치를 나타냈다. 현 정부 임기 내 재가동될 것이라고 보는 기업은 73.2%를 육박했다.
‘무조건 재입주 하겠다’는 기업도 전년(26.7%)대비 56.5%로 2배 이상 상승했다. 반면, ‘남북합의 등 재가동 조건을 보겠다’는 ‘조건부 재입주’의 비율은 69.3%에서 41.7%로 감소했다.
다만, 응답기업 중 66.7%가 개성공단 재가동의 선결조건으로 ‘국가의 손실보장 근거규정 마련’을 꼽은 만큼, 정부가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경영안정성 보장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안전장치를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입주기업들은 정부가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에 대한 아쉬움을 내비쳤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협회장은 “개성공단이 폐쇄 된지 3년이 지나며 기업인들에게 심신으로 한계가 왔다”며 “정부는 기업인들의 개성공단 실태 점검을 위한 방문 신청도 승인을 해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창희 중기중앙회 남북경협센터장은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공단 재가동에 대한 기대치는 높은 편”이라며 “개성공단 기업들은 정부의 추가 지원 대책보다는 기업인들의 개성공단 방문 승인과 같은 공단 재가동을 위한 실질적인 진전”이라고 밝혔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