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019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발표
고양, 하남 등 도내 10개 지자체에서 지하차도와 지하철, 주차장, 상가 등 지하 공간정보가 담긴 통합지도가 구축된다. 정부는 또 국토관측위성 활용을 위한 ‘국토위성센터’ 설립 등 778개 공간정보사업에 3천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한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공간정보란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위치·경로·명칭 등을 말한다.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 등 신산업 발전의 핵심 요소로 꼽히며 길 안내 서비스, 가상현실 게임 등의 분야에서 활용된다.
올해 국가공간정보사업은 약 3천328억 원 규모로, 778개 사업이 추진된다. 중앙부처는 66개(총 2천161억 원) 사업을 진행하는 데 이중 국토부가 42개(약 1천653억 원)사업을 맡는다. 또 지방자치단체는 생활 지리정보 콘텐츠 구축(안양) 등 1천167억 원 규모, 712개 사업을 추진한다. 이 중 경기도가 247억 원으로 규모가 가장 크다.
국토부는 먼저 국민의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위해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구축한다. 지하공간을 개발하고 관리하기 위해 개별 관리기관에서 생산하던 지하공간정보 15종을 3차원 기반으로 통합하는 작업이다. 올해 연말까지 고양, 광주, 구리, 군포, 시흥, 오산, 의왕, 의정부, 파주, 하남 등 도내 10개 시를 대상으로 통합지도를 신규 구축한다. 특히 상반기까지 지하공간 통합지도 구축 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이와 함께 공간정보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위성 1호기의 탑재체 개발도 완료할 계획으로, 오는 2020년 발사 예정이다.
또 오는 10월부터 위성 정보를 직접 수집하고 가공할 수 있는 ‘국토위성센터’도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이밖에 자율주행차량을 상용화하기 위해 올해 전국 고속도로 등 3천340km의 정밀 도로지도도 제작하며, 오는 2030년까지 전국 도로 1만 1천km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