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연내 수소시범도시 선정
생산·이송·저장·활용 생태계 조성
인천시, ‘인프라 구축’ 최대 강점
미래 에너지메카 도약 절호 기회
인천시가 수소시범도시 추진 등을 통해 미래 에너지 산업 선점에 나설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16일 국토교통부와 시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2019년 내 수소시범도시 3곳을 조성할 방침이다. 수소시범도시는 수소 생산부터 이송·저장·활용에 이르기까지 수소 경제의 모든 부분을 아우르는 수소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다.
이에 인천이 다른 광역지방자치단체와 비교해 상당한 인프라가 구축된 것을 활용, 시가 시범도시 공모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시범도시 선정으로 중앙정부가 적극 추진하는 수소 경제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에는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LNG 생산기지. 석유화학단지. 수도권매립지 등이 있다.
특히 LNG 생산기지는 평택 생산기지와 함께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저장탱크 23기)에 속해 이를 인천의 거점형 대규모 수소 생산 기지화한다면 저렴한 수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 한국가스공사의 정압관리소의 거점형 수소생산기지화 계획과 연계, 인천 내 LNG 정압관리소 중 일부를 거점형 중규모 수소생산기지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소 이송 측면에서는 이미 인천 전역에 있는 천연가스 공급설비를 활용할 수 있다.
한국가스공사는 법을 개정해 천연가스 공급설비를 이용, 수소전기를 공급할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활용 측면에서도 인천은 세종시를 제외한 16개 광역 자치단체와 비교했을 때 수소연료 충전소로도 활용 가능한 액화석유가스(LPG)·압축천연가스(CNG) 충전소가 4번째로 많다.
한국수소산업협회 관계자는 “인천에는 대규모 LNG 생산기지가 있어 수소 관련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어 수소시범도시 선정 가능성은 높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아직 수소시범도시 응모는 결정하지 않았지만 연세대와 수소융복합단지실증사업 추진을 검토하는 등 수소경제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