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1.75%로 동결

'경기 우려'에 관망, 미 통화정책, 무역협상, 브렉시트, 추경 등 변수 고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통위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오전 서울 중구 태평로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통위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연 1.75%로 동결됐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8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회의를 열어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11월 1.50%에서 1.75%로 인상된 뒤 올 들어 동결 행진을 이어가게 됐다.

이번 금통위 결정은 주요국 통화정책이 완화적 기조로 전환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비둘기(통화완화 선호)’ 기조를 보이면서 현재 0.75%포인트인 한미 정책금리 역전폭이 더 커질 가능성은 일단 줄었다는 것이다.

올해 들어 국내외 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둔화한 점도 이번 결정의 주요 배경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월까지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1개월 연속, 미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개월 연속 하락했다.

정부의 9·13 대책 등으로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연히 둔화해 한은이 2017년 이후 두 차례 금리 인상의 근거로 내세웠던 ‘금융불균형’ 문제도 다소 완화됐다는 평가다.

또 세계 경기의 흐름을 좌우할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등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관망’ 의견이 우세했던 것으로 보인다.

미세먼지 대응과 일자리 확충 등을 위한 문재인 정부의 3번째  추가경정예산안(추경)이 7조원 미만 규모로 편성될 전망이라는 점에서 그 효과를 지켜보자는 뜻으로도 읽힌다.

금통위는 금리를 내릴 상황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이주열 총재는 지난 1일 기자 간담회에서 “지금이 기준금리 인하를 검토해야 할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고 언급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