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산불’ 인천도 남의 일 아니다

문학·계양산 등 공동주택단지와 밀착
전선지중화 비율 40% 과반도 못미쳐
소방헬기 확충·야간 투입 금지 풀어야

인천지역의 대형 산불 방지를 위해 전선 지중화 확대 등 구체적인 산불 방재대책이 시급하다.

21일 산림청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인천에서는 2018년에만 16건의 산불이 발생한데다 산림면적비율도 40%에 육박해, 대형 산불 위험에 노출돼있다.

특히 인천의 대표적인 등산코스인 문학산, 계양산 등은 폭4~6m의 좁은 도로를 두고 공동주택 단지와 상가 등이 밀착해 있어 산불 발생 시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2017년 기준 인천의 산림면적은 3만9천556㏊로 전체 인천 면적 중 약 37%다.

하지만 인천의 전선지중화 비율은 39.33% 수준에 그치고 있다. 특히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 동안 1.9㎞를 지중화했다. 경기도는 같은 기간 67.8㎞구간을 지중화 했다.

전선 지중화는 전선이 끊어지면서 튀는 아크(전기불꽃)에 의한 화재를 막는 등 소방 방재 측면에서 중요하다. 특히 357㏊를 태운 속초·고성화재도 강풍에 전신주 개폐기에 연결된 전선이 끊어지면서 발생한 아크가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침엽수림을 줄이고 활엽수림을 늘리는 것도 중요하다. 인천의 산림 중 침엽수림 비율은 27%다. 특히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인 혼효림을 합친 수치는 53%로 과반을 넘는다.

소나무에는 기름 성분이 있어 불에 잘 타고 솔방울에 불이 붙으면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등 산불 확산의 주범으로 지목된다.

대형 소방헬기 확충 및 노후 헬기 교체도 시급하다. 인천 소방본부가 보유한 소방헬기는 2대다. 하지만 이들 헬기는 강풍에 이륙할 수 없는 중형급 이하 헬기이며 특히 1대 소방헬기는 1995년 도입된 노후 헬기지만 2023년에야 교체할 수 있다.

또 법률상 안전 등의 이유로 헬기의 야간 투입이 금지된 것도 풀어야 할 숙제다.

이에 대형급 헬기를 조기에 확충해 산불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인천은 서울이 50%가 넘는 전선 지중화율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 도시임에도 지중화율이 낮다”고 지적하며 “또 대형 소방헬기 등에 대해 중앙 정부와 협의하는 등 산불 초기 대응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고 했다.

남궁형 시의원(동구)도 “인천도 산불 안전지대가 아니다. 전선 지중화 비율과 활엽수림 비율 확대 등 소방 방재책 재구축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