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정체구간 추돌위험, 내비게이션이 알려준다

행정안전부는 고속도로 정체구간의 차량 추돌사고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지 위해 한국도로공사 및 내비게이션 운영사와 손잡고 24일부터 고속도로 정체 알림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23일 밝혔다.

고속도로 정체 구간에서 발생한 차량 추돌 사고는 최근 3년(2015~2017년)간 69건으로, 전체 교통사고(2천197건)의 3.1% 수준이다. 하지만 치사율이 25%로 일반 교통사고(10%)의 2.5배에 달한다. 고속도로에서 고속으로 주행하다 충분한 사전 감속조치 없이 그대로 충돌하게 되는 탓이다. 또 정체 상황에 대한 전방 주시태만과 대형트럭 및 버스 운전자의 졸음운전이 심각한 추돌사고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고속도로 정체 구간 추돌 사고의 원인으로는 전방 주시태만이 34%로 가장 많고, 졸음(18%)과 안전거리(13%), 과속(8%)으로 인한 경우도 상당하다.

정부가 시행하는 알림 서비스는 정체상황 발생시 한국도로공사에서 정체정보를 고속도로 교통관리 시스템에 입력하면 차량 내비게이션을 통해 즉각 표출되는 방식이다. 우선 아이나비, 맵퍼스 등 2개 내비게이션 운영사가 서비스를 시작하고 운영성과를 바탕으로 올 하반기에는 티맵(T-map), 엘지유플러스(LGU+), 네이버 등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