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에 노로 바이러스 주의보가 내려졌다. 올해 봄철에만 16건의 노로 바이러스로 추정되는 집단설사가 발생, 도는 감염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경기도는 지난 3월 이후 경기도 내 어린이집과 초ㆍ중ㆍ고교에서 노로 바이러스로 추정되는 집단설사가 16건 발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같은 지난해 같은 기간 8건보다 2배 많은 수치다.
노로 바이러스는 집단 설사 등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을 유발하는 원인체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병원체로, 오염된 식품 또는 물 등을 통해 전파된다. 지난해 도내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 156건 중 44건(약 28%)은 노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했다.
이처럼 경기지역에 노로 바이러스 주의보가 떨어지면서 도와 감염병관리지원단은 노로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매뉴얼을 제작해 경기도교육청, 식품위생부서, 보건소 등 관계기관에 배포하는 등 예방 활동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또 도는 도내 보건교사를 대상으로 학교 감염병 대응 역량강화 교육을 하는 등 감염병 예방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나갈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노로 바이러스는 전염력이 강해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증상발생 시 즉시 병원 진료를 받고 집단발생이 의심되면 관할 보건소로 신고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