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주택거래가 급감하면서 지난해 하반기 크게 증가했던 주택 ‘원정투자’ 비중도 올 들어 덩달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ㆍ13부동산 대책 이후 강력한 대출 규제와 보유세 강화 등의 조치로 다주택 투자수요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28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의 주택 매매거래 건수는 총 14만 5천87건으로, 이 가운데 서울 거주자가 경기도를 비롯해 지방 등 서울 외 지역의 주택을 원정 매입한 비중은 전체의 6.2%(9천56건)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4분기 7.4%(21만 3천51건 중 1만 5천726건)에 비해 낮아진 것이다.
서울 거주자의 외지 주택 매입 비중은 2016년 평균 6.3% 선을 보이다 지난해 평균 7.3%를 기록했다. 특히 주택시장이 과열된 3분기에는 8.2%까지 높아졌다.
그러나 9ㆍ13대책으로 청약조정지역 내 2주택 이상 보유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가 중과되고 공시가격 인상으로 다주택자들의 보유세 부담이 커지면서 최근 들어 원정 매입 비중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투자수요가 많았던 서울 거주자의 아파트 원정 매입 비중은 지난해 3분기 8.5%, 4분기 7.5%에서 올해 1분기에는 5.9%로 뚝 떨어졌다.
반대로 경기도를 비롯한 서울 외 거주자들이 서울지역의 주택을 원정 매입한 경우는 작년 4분기 23.1%로 정점을 찍고 나서 올해 1분기에는 22.9%로 소폭 낮아졌다. 서울 거주자들이 지방 등지로 원정 매입하는 경우보다는 감소폭이 적은 편이다.
신한은행 이남수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정부의 강력한 다주택자에 대한 규제 정책으로 원정 투자수요를 포함한 추가 매수 의지가 많이 꺾인 상황”이라며 “다만, 유동성이 풍부한 만큼 가격 하락을 틈타 개발 재료가 있거나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주택에 한해서는 대기 수요를 중심으로 저가 매수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