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가 4조 7천억 원을 투입해 수소양산에 나선다.
2030년까지 수소를 연 173t 공급하고 수소 1㎏당 가격을 4천500원까지 낮춘다는 목표다. 현재 국내 수소 가격은 1㎏당 6천500∼7천500원이다. 또 10년 내 수소 생산시설 25개를 만들고 수소를 운송할 수 있는 배관망 700㎞를 구축하기로 했다.
김영두 가스공사 사장 직무대리는 2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을 발표했다. 공사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정책에 발맞춰 공개한 이번 로드맵에서 수소 생산ㆍ유통망을 구축해 수소경제의 마중물 역할을 한다는 비전을 밝혔다.
4대 추진 방향은 ▲수소 운송ㆍ유통 부문 인프라 선제 구축 ▲수소산업의 상업적 기반 조성 ▲수소산업 전 밸류체인의 기술 자립 실현 ▲선진국 수준의 안전관리 체계 조기 확립 등이다.
이를 위해 공사는 전국 4천854㎞에 이르는 천연가스 배관망과 공급관리소 403개소를 활용해 2030년까지 수소 생산시설 25개를 마련하기로 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거점 도시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9개소, 2025년까지 6개소, 2030년까지 10개소를 각각 설립한다. 2022년까지 거점 도시 내 100㎞, 2025년까지 광역권 배관망 500㎞, 2030년까지 수요 증가와 해외 수입에 대비한 배관망 100㎞ 이상을 건설하기로 했다. 압축 수소를 한 번에 운송할 수 있는 대용량 수소 운반용기인 튜브 트레일러는 2030년까지 500대를 도입한다.
이에 따라 공사는 준비기인 2022년까지 연 47만t, 확산기인 2030년까지 연 173만t, 선도기인 2040년까지 연 345만t의 수소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공사가 예측한 수소 수요는 연간 기준 2022년까지 47만t, 2030년까지 194만t, 2040년까지 526만t이다.
수소사업을 위한 재원은 가스공사에서 1조 원을 조달하고 나머지는 정부 보조금이나 민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을 통해 충당하기로 했다.
김 사장 직무대리는 “수소산업이 차세대 국가 핵심산업으로 성장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더불어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미래 저탄소·친환경 에너지 시대를 이끌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