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간 준설을 하지 못해 악취를 유발한 남동유수지가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돼 준설 될 전망이다.
28일 인천시에 따르면 남동유수지는 집중호우 시 남동공단 및 남동구, 연수구, 미추홀구 등 3개 구에 거주하는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자 빗물을 저류해 범람 등의 피해를 막고자 1988년 조성됐다.
하지만, 남동유수지를 담당하는 남동구가 준설 재원을 확보하는데 난항을 겪으며 30년간 준설 사업이 이뤄지지 못했다.
이에 퇴적토가 쌓이는 등 남동유수지 범람 및 악취 발생 문제가 지적돼 조속한 준설이 시급하다.
실제로 2009년 이뤄진 ‘남동유수지 환경친화적 수질환경조성을 위한 타당성 조사’ 결과 남동유수지의 설계용량은 322만5천㎡이지만 실 저류량은 265만1천㎡에 그쳤다. 2012년에는 남동유수지 내 남동배수펌프장 범람 수위 직전까지 도달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중금속 폐기물, 토사 등 퇴적토에서 악취가 발생, 송도와 남동공단 주변 주민들에게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을 통해 정비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준설에 소요되는 전체 사업비 430억원중 50%인 215억원은 국비 보조를 신청하고 나머지 215억원은 시와 남동구가 절반씩 마련하는등 재원 부담을 줄일 예정이다.
특히 시는 행안부와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을 위한 사전 협의를 마쳤다.
당시 행안부는 유수지 준설을 위해 자연재해위험지구개선지구를 지정하는 것에 반대할 의사가 없고 정비사업에 국비 지원 가능성이 크다는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추진 중인 원도심 내 유수지 기본계획 용역에서 정확한 준설량, 시기, 방법 등이 결정되면 남동구 등과 협의해 후속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남동유수지는 저수용량이 줄어 방재기능이 떨어진 상황이지만 사업비 문제로 퇴적토 준설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아직 국비 확보가 결정된 것은 아니다. 관계 기관과 협의해 국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