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8일 여당 원내대표 선거 ‘3파전’ 예고… 키워드는 ‘對野 협상력’

‘대치 정국’ 조정능력 발휘 절실
입법과제 결실이 시험대 될 듯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선거가 다음 달 8일로 다가온 가운데 신임 원내대표가 갖춰야 할 주요 리더십 중 하나로 ‘대야(對野) 협상력’이 부상하고 있다.

최근 자유한국당과 여야 4당이 공직선거법 개정안·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법안·검경수사권 조정을 담은 형사소송법 개정안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처리를 놓고 거친 몸싸움과 ‘고발전’을 벌이면서, ‘대야 전투력’의 주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제21대 총선 승리를 견인해야 하는 차기 여당 원내대표는 주요 입법 과제의 ‘결실’을 맺어야 하는 시험대에 올라야 한다. 이를 위해선 패스트트랙 법안뿐 아니라 20대 국회 종료와 함께 ‘임기만료 폐기’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탄력근로제 연장 확대법, 최저임금법 개정안 등에 대해서도 야당의 합의를 이끌어내야 한다.

주요 입법 과제에 대한 성과는 정부·여당의 지지율 제고와 총선 승리, 나아가 차기 대선 승리 가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제4기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선거’에는 일찌감치 출마를 선언한 이인영 의원과 30일 후보 등록과 함께 출마를 선언하는 김태년(성남 수정)·노웅래 의원 등이 나설 예정이다.

김 의원은 직전 정책위의장을 수행하면서 아동수당법 개정안 통과 등의 굵직한 성과를 도출한 데 이어 당정청 관계와 원내 협상에서도 탁월한 조정 능력을 보여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김 의원은 29일 본보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차기 원내대표는 협상력을 당연히 가져야 한다”며 “내가 상대적으로 (협상력이) 좋지 않겠나”라고 자신감을 보였다.

원내대표 선거 ‘3수생’인 노 의원은 야당과의 소통에서 ‘유연성’을 활용한 협상력을 선보일 것으로 기대받고 있고, ‘계파 통합’을 기치로 내건 이인영 의원 역시 당내 개혁과 변화를 견인할 ‘기대주’로 꼽힌다.

한편 민주당은 30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국회 본청 원내대표선거관리위원회 사무실에서 후보 등록 신청을 받을 예정이며, 후보 등록 종료 10분 후 곧바로 기호 추첨을 진행한다.

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