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협상 ‘최종 결렬’ 인천지역 시내버스 노사 ‘전운’

시내버스 운송사업자·노조 합의 실패
자동차노련 인천본부 ‘쟁의조정’ 신청
파업 가결땐 ‘시민의 발’ 올스톱 우려

인천지역 시내버스 운송사업자와 노동조합 간 임금 협상이 최종 결렬되면서 인천 내 버스 총파업 우려가 커지고 있다.

29일 버스운송사업조합과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자동차노련) 인천지역본부 등에 따르면 이 날 열린 최종 단체 교섭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결렬됐다. 이에 따라 노조 측은 이 날 인천지방노동위원회에 사업장별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이와 함께 노조는 파업 찬·반 투표를 통해, 빠르면 5월 15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최대 파업 참가 인원과 차량은 각각 4천559명, 1천861대여서 파업이 현실화하면 시민 불편이 우려된다.

노조는 최근 사측과 임금 인상 등의 문제로 5차례 단체교섭을 벌였지만, 임금 인상 수준 합의에 실패했다.

노조는 서울시 준공영제 버스 임금 수준인 월평균 407만원 수준을 요구했다. 이는 현재 월평균 338만원 임금에서 약 20%(약 70만원)의 인상률이다.

특히 노조는 인천시 준공영제 버스 임금 수준이 6개 전체 특·광역시에서 가장 낮은 점을 강조했다. 6개 특·광역시의 평균 버스 임금은 월평균 380만원이다.

하지만, 사측은 공무원 봉급 인상률인 1.8%(약 6만원) 인상안을 제시했다. 노조 측에서 제시한 인상률은 현재 조합의 재정 상황을 고려하면 감당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사측 관계자는 “노조가 주장하는 20%의 임금 인상은 현재 회사 재정 상황을 고려하면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말했다.

이에 인천시가 준공영제 업체에 적극적인 재정 지원 등을 통해 임금 인상을 이뤄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조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시 재정 상황이 어려워 낮은 임금 수준을 받아들였지만, 이제는 시 재정여건 및 경제 발전 등으로 상황이 달라졌다”며 “시가 재정 지원 등을 통해 서울 수준의 임금을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이날 자동차노련은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울산 등 6개 특·광역시 등 11개 지역 4만1천여명의 버스노동자들이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른 인력 충원 등의 문제로 5월 15일부터 버스 운행을 중단한다고 밝혀 노·사 간 갈등은 심화할 전망이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