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과천 과천지구 등 3기 신도시의 광역교통개선대책을 올해 안에 마련하기로 했다. 지구지정 이후 교통대책 확정까지 평균 9.4개월이 걸렸는데 이를 절반 이상 단축하겠단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30일 ‘제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의 대규모 지구 광역교통개선대책을 구체적으로 마련하기 위한 관계기관 TF(태스크포스)를 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3기 신도시 계획은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인천 계양 테크노밸리, 과천 과천지구에 총 12만 2천 가구를 공급하는 내용이다.
지난해 말에 발표된 3기 신도시가 교통 등 인프라를 갖추지 못하고 베드타운만 만든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국토부는 교통대책을 함께 마련했다고 반박했다.
TF 회의에서는 입주 초기 원활한 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구별 교통대책 수립 방안, 관련 기관 간 협력 방안, 효율적 TF 운영 방안 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추가 검토가 필요한 사항은 분야별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실무위원회의에서 심의된다.
TF는 입주 시기와 교통 인프라 공급시기간 불일치 문제를 없애기 위해 셔틀버스 운영 등 초기 임시 교통대책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TF는 세부 사업 과제에 대한 개발·교통 관련 기관의 사전 조율·협의를 통해 교통대책 확정까지 걸리는 기간을 예전보다 절반 이상 줄일 방침이다.
그동안 광역교통개선대책은 판교(9개월), 위례(11개월), 동탄2(16개월) 등 지구 지정 이후 확정까지 평균 9.4개월이나 걸려 광역교통시설을 제때 공급하기 어려웠다는 게 대광위의 판단이다.
김희수 대광위 광역교통운영국장은 “이번 기회에 ‘선교통·후개발’의 원칙이 확립될 수 있도록 TF를 적극적으로 가동해 연내 실행력 있는 광역교통개선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