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올바른 개발비 회계처리 관행, 연구개발투자 저해 초래하지 않아”
금융감독원이 2018년도 제약·바이오업종 연구개발비 실태 점검한 결과, 연구개발지출 총액은 증가세를 유지(연평균 15.6%)하고, 최근 개발비(무형자산) 자산인식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면서 관련 공시수준이 개선됐다. 이로 인해 제약·바이오 기업의 개발비 회계처리 관련 우려가 대체로 완화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일 금감원에 따르면 제약·바이오 업종 185사의 2018년 개발비 자산화 비율은 평균 16.4%로 전기(19.6%) 보다 3.2%p 하락하는 등 최근(2년간) 감소 추세로 조사됐다.
개발비 자산화 비율은 당기의 연구개발 관련 지출 중에서 개발비(무형자산)로 계상한 금액의 비율이다.
2014~2016년 기간 지나친 개발비 자산화 등 종전 회계처리 관행하에서 연구개발지출 증가에 따라 매년 개발비 자산인식도 증가했다.
하지만 2017~2018년의 경우 연구개발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상황임에도 개발비 자산 증가는 축소되는 등 개발비 자산화 비율이 감소세로 전환했다.
이는 회사들이 연구개발지출에 대한 개발비 자산인식 요건 적용을 이전과 달리 보다 신중하게 처리하는 데서 기인한 것이라고 금감원은 분석했다.
개발비 자산화 비율이 업종 평균치(16%)를 초과하는 회사 비중 역시 2018년 15.7%(29사/185사)로 전기(25.4%, 47사/185사) 보다 감소하는 등 개별회사 수준에서도 개발비 자산화가 둔화 양상을 보였다.
185사 중 개발비 계상회사는 79사(전기 92사)이며, 개발비 잔액은 1조 3천200억 원(전기 1조 5천500억 원)으로 회사수 및 금액이 모두 감소했다.
개발비 잔액이 비교적 큰 100억 원을 초과하는 회사가 2018년 9사(2017년 21사)로 줄어드는 등 회사별로도 잔액수준이 축소했다.
개발비가 중요하면서 개발비의 자산인식 기준을 구체적으로 공시한 회사는 2018년 64.7%로 과반 이상을 차지(전기 50.0%)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개발비 자산인식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시 연구개발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는 일부 우려와는 달리 올바른 개발비 회계처리 관행 형성이 연구개발투자의 저해를 초래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전했다.
서울=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