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제237호 ‘청자 순화4년(淳化四年)명 항아리’가 국보로 승격했다. 보물 지정 56년 만이다.
국보 제326호가 된 항아리는 약 1천년 전 고려 장인이 선대 임금 제사에 사용하려고 만들었다. 높이가 35.2㎝이고 문양이 없다. 바닥면 굽 안쪽에 ‘순화사년 계사 태묘제일실 향기 장최길회 조’(淳化四年 癸巳 太廟第一室 享器 匠崔吉會 造)라는 글씨가 새겨져있다.
순화는 송 태종이 사용한 네 번째 연호로 순화4년은 993년이다. 문구는 ‘993년에 태묘 제1실 향기(享器·제기)로서 장인 최길회가 만들었다’를 뜻한다.
1910년 세상에 처음 공개됐다고 알려진 항아리는 발굴 경위는 정확하게 파악되지 않았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소장가들을 거쳐 이화여대 박물관이 1957년에 구매했다.
학계에서는 한때 이 항아리를 청자가 아닌 백자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으나, 지금은 청자가 맞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지난해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가 보존처리를 마쳤고, 지난해 말 이화여대 박물관에서 기획전을 통해 공개한바 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초기 청자 가운데 드물게 큰 항아리로, 제작 연도와 용도를 비롯해 사용처와 제작자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라며 “청자 제작 시기를 유추하고 발달사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인 유물이라는 점에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다.
한편 ‘군위 인각사 출토 공양구 일괄’과 금속활자로 찍은 서적인 ‘신간유편역거삼장문선대책(新刊類編歷擧三場文選對策) 권5∼6’도 이날 각각 보물로 지정됐다.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