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사회 참여형 Mod(Mobility on Demand)’가 국토교통부가 공모한 ‘2019년 스마트시티 챌린지’ 시범 사업에 선정됐다.
국토부는 인천시와 광주시, 경기도 부천시, 수원시, 경남 창원시, 대전시 등 6개 지역 사업을 시범 사업으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스마트시티 챌린지 공모는 민간의 창의적 아이디어로 도시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고 기업 솔루션의 실증·확산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토부는 6개 사업에 사업계획 수립, 대표 솔루션 실증비용 등으로 각각 국비 15억원과 전문가 컨설팅을 지원한다.
인천의 Mod 사업은 대중교통이 불편한 영종도에 ‘자가용 없는 이동 혁명’이 콘셉트다.
Mod 서비스는 인천 영종도(97.48㎢) 7만4천여명의 주민 수요에 맞춰 합승할 수 있는 차량을 투입하고, 자가용 없이도 목적지까지 신속히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주민이 Mod 서비스 앱을 내려받아 예약하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 탑재된 합승 차량이 최소 배차 간격을 계산해 주민을 태운다.
승하차 지점은 현 버스 정류장과 같다.
현재 시와 중구는 영종도에 각각 200억원(181대), 10억8천만원(8대)의 버스준공영제 예산을 투입해, 26개의 노선을 운행 중이다.
하지만, 운행 버스의 평균 배차 간격이 78분에 달해, 주민은 대중교통을 꺼리고 민원도 늘어나는 추세다.
시는 Mod 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주민 수요 빅데이터가 준공영제 예산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밖에 공유형 전동킥보드, 버스와 지하철 연계 서비스 등도 함께 제공한다.
시 관계자는 “올해 시범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 본 예산을 내년에 수백억원 지원받을 수 있다”며 “우수 지자체에 선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