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주택 공시가 서울 3억8천만원·경기 2억원대

전국 평균 1억9천765만원…9억원 초과 '종부세 아파트' 93%는 서울에
30억원 이상 초고가 아파트 1천224가구…서울에 99.6%

국토교통부 제공
국토교통부 제공

전국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올해 공시가격이 평균 약 2억원 수준까지 인상됐다.       

특히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이 오른 서울의 경우 공동주택 한 채가 평균 3억8천400만원대로 평가됐고, 경기도는 2억400만원대를 기록했다.

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가 결정·공시한 전국 공동주택 1천339만 가구의 평균 공시가격은 1억9천764만5천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격은 3월 15일부터 지난달 4일까지 소유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조정을 거친 결과로, 작년 공시가 대비 상승률은 5.2% 수준이다.

시·도별로는 서울의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가 3억8천431만6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세종(2억2천10만원), 경기(2억418만8천원), 대구(1억8천636만8천원), 부산(1억6천243만4천원), 제주(1억5천70만3천원) 순이었다.

반면 전국에서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가장 낮은 곳은 경북으로, 한 채 평균 8천822만9천원으로 평가됐다.

상승률도 서울이 14.02%로 1위였고, 광주(9.8%), 대구(6.6%) 역시 전국 평균(5.24%)을 웃돌았다.   

경기(4.65%) 대전(4.56%) 전남(4.44%) 세종(2.93%) 등 4개 시도는 전국 평균(5.24%)보다 낮게 상승했다. 울산(-10.50%) 경남(-9.69%) 충북(-8.10%) 경북(-6.51%) 부산(-6.11%) 등 10개 시도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공시가격 기준으로 9억원이 넘는 공동주택은 전국에 모두 21만8천163가구가 있지만, 이 가운데 93.15%인 20만3천213가구가 서울에 집중됐다. 이런 고가 공동주택 수는 지난해와 비교해 전국적으로 54.9%, 서울 기준으로 51% 급증한 것이다.

다만 9억원 초과 공동주택의 서울 비중(93.15%)은 작년(95.88%)보다 2.73%포인트 줄었다.

30억원이 넘는 ‘초고가’ 공동주택 수는 전국에서 1천224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공시가 기준 874가구보다 40%나 늘었다. 부산 2가구, 경기 3가구를 빼고는 99.6%가 서울 집이었다.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www.realtyprice.kr)와 해당 주택 소재지 시·군·구 민원실을 통해 오는 30일까지 열람할 수 있다.

공시가격에 이의가 있다면 30일까지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의견을 내거나 국토부, 시·군·구청(민원실) 또는 한국감정원에 우편·팩스·방문 제출하면 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