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 공유 시스템 빠르면 7월 도입
택시·버스업계 ‘생존권 위협’ 반발
인천시가 추진 중인 영종도의 ‘자가용 없는 이동 혁명’ 사업에 대해 지역 택시·버스 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6일 시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공모에 선정된 차량 공유 시스템 사업인 ‘인천시 사회 참여형 Mod(Mobility on Demand)’ 서비스를 이르면 7월께 영종도에서 시작한다.
Mod 서비스는 인천 영종도(97.48㎢) 7만4천여명의 주민 수요에 맞춰 합승이 가능한 차량을 투입하고, 자가용 없이도 목적지까지 신속히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주민이 Mod 서비스 앱을 내려받아 예약 하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 탑재된 합승 차량이 최소 배차 간격을 계산해 주민을 태운다.
하지만, 택시·버스 업계는 차량 공유 서비스로 인한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고 있다.
약 300대의 택시가 영업 중인 영종도 내 택시 이용 수요가 줄어들고, 준공영제 형태로 재정 보조를 받는 버스 수익도 악화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택시 업계 관계자는 “지역 내 택시를 감차하는 등 기사들의 생존권 문제는 현재 진행형이다”며 “Mod 사업 등 공유 경제형 교통사업과 택시 업계가 공존하는 방안은 고려하고 추진하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택시 업계와, 새로운 공유 교통 시스템 간의 갈등은 남동국가산업단지 내 ‘무빙 콜’ 사업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인천지역본부가 남동국가산업단지 내 근로자들에게 무료 교통편을 제공하는 ‘무빙 콜’ 사업을 도입한 지난해 7월 이후, 택시 수요가 감소하면서 택시 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시는 수원시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 차량 공유 사업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돼, Mod 사업이 추진되지 못하면 경쟁력을 잃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시는 영종도 내 운행하는 택시에 한해 합승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규제샌드박스’를 정부에 신청하고, 수익을 보전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시 관계자는 “버스 업계 수익 악화를 대비해 사업 주체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며 “인천이 공유 차량 ‘패러다임’을 선점하지 못하면 택시·버스 업계의 피해는 더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