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송도 M버스 폐선 결정 철회요청 불허…지역 정치권, 주민, 지자체 반발

국토교통부가 서울과 인천 송도를 오가는 광역 급행버스 2개 노선 폐선 철회 요청을 거절하자 연수구와 주민, 지역 정치권이 집단 반발하고 있다.

6일 연수구 등에 따르면 광역 급행버스업체 ㈜이삼화관광은 지난 3일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로부터 송도~여의도·잠실 노선(M6635·M6336) 폐선 철회 요청을 거절한다는 답변서를 받았다.

이에 서울행 광역 급행버스 운영 재개를 기대했던 연수구 주민들의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실제 인천시 홈페이지와 송도국제도시 주민 커뮤니티 등에는 ‘버스 폐선 이후로 출퇴근만 왕복 3시간 이상 걸린다. 이게 나라에서 말하는 워라벨인가’, ‘차라리 버스가 처음부터 없었으면 이사를 안 왔을 것이다’, ‘서울로 이사 가서 인천을 저주할 것이다’ 등의 원색적인 비난글이 잇따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도 조속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경욱 자유한국당 의원(인천 연수구를)은 “기존부터 편리하게 이용하던 M버스 폐선에 따른 주민들의 박탈감은 말로 표현 못한다”며 “최대한 빨리 운행이 재개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국토부 대광위의 안일함으로 M버스가 폐선에 이르렀고 이에 대한 피해는 고스란히 지역 주민이 지고 있다”며 “연수구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대체수송 마련 등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남석 연수구청장도 “중요한 부분은 이른 시일 내에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통편을 마련할 것”이라며 “또한, 구는 M버스 운영 정상화를 위해 운송사업자에 대한 재정 지원이 가능하도록 조례를 제정할 계획이고, 이와 함께 재정적 지원책을 마련하는 등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했다.

앞서 3월 13일 ㈜이삼화관광은 누적 적자를 감당하기 어려워 해당 2개 노선을 운영하기 어렵다며 국토부에 폐선 신청을 하고 지난달 16일 버스운행을 중단했다.

이에 연수구가 주민 불편을 줄이기 위해 구 예산으로 버스업체 적자 보전 조례 제정을 추진하자 이삼화관광은 지난달 18일 국토부에 폐선 허가를 철회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대광위 측은 “연수구의 손실보조금 약속만으로는 해당 2개 노선의 경영 어려움이 해소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노선 폐선 허가를 철회할만한 사유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민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