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파업 예고 ‘노사 전운’… 주 52시간 근무 줄어든 임금 보전 쟁점

勞 “15%이상 올려야” vs 使 ‘1.8%인상’
10일 지노위 쟁의조정 회의 결과 분수령

인천 시내버스 노조가 주 52시간제 시행을 앞두고 사측과의 임금 협상에 난항을 겪으면서 전국 단위 파업에 동참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인천지역노조(인천노조)는 오는 10일 인천지방노동위원회의 1차 쟁의조정 회의 결과를 지켜보고 나서 파업 찬반 투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노동위에서 조정 중지 결정이 나오면 노조는 조합원 투표를 거쳐 합법적으로 파업할 수 있다.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면 인천지역 준공영제 노선버스 1천861대와 기사 4천599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2009년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 중인 인천시는 32개 업체 156개 노선에 대해 운송원가 대비 적자를 지원하고 있다.

앞서 노조 측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에 따라 월평균 338만원 수준인 기사 임금을 서울 준공영제 버스 임금인 월평균 400여만원으로 15% 이상 인상해달라고 요구했다.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월 최대 110만원의 임금이 줄어들 것을 우려해 임금 감소분을 보전해 달라는 것이다.

반면, 사측인 인천시 버스운송사업조합은 임금 1.8% 인상안만을 내놔 협상이 5차례나 결렬됐다.

각 지역 노조가 속한 자동차노련은 조정되지 않으면 오는 15일 전국 단위 총파업에 들어가겠다는 계획인데, 인천도 노동위 쟁의조정 회의 결과에 따라 파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임한택 인천노조 사무처장은 “인천은 1차 조정 회의 결과를 지켜보고 나서 파업 찬반 투표를 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노사정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시 차원에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정규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