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드론실증도시 사업 응모
선정 땐 주기적으로 운용 계획
인천시가 드론을 이용한 인천항의 대기 질 관리를 추진한다.
시는 드론을 이용해 항만지역 대기질 특성을 분석하고, 해결책 마련을 위해 국토교통부가 공모하는 드론 분야 규제샌드박스(드론실증도시)사업에 응모했다고 7일 밝혔다.
드론실증도시사업은 드론의 조기 상용화를 위해 2019년 12월 5일까지 규제 없이 안전성 테스트 등을 자유롭게 수행하는 실증 테스트베드를 구축하는 것이다.
시는 이번 공모에서 선정되면 남항과 연안항 지역에 대기질 측정용 드론을 주기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드론은 미세먼지와 황산화물(SOx) 등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하고 기상자료와 연계해 분석한다.
이와 함께 시는 항만 물류량에 따른 대기오염 물질 변화를 분석하고, 드론과 연계된 사물인터넷 장비를 이용해 대기오염물질 발생 상황을 알려주는 시스템도 개발할 계획이다.
시는 이를 위해 인천스마트시티, 전자부품연구원 등 관련 기관과 컨소시엄도 구성할 예정이다.
사업관리 및 대기질 측정 방향, 대기질 개선책도 수립한다. 인천스마트시티는 비행계획수립, 드론관제플랫폼 운영, 데이터 분석을 맡고, 전자부품연구원은 드론에 통신 장비를 제공한다. 관련 연구소는 기초 데이터를 수집, 가공하고 드론 기체를 운용한다.
선박 등 항만시설은 공항 등과 함께 인천 미세먼지 발생의 주범이다. 인천 보건환경연구원 조사 결과, 항만. 공항 등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비산먼지에 이어 2번째로 높다.
또 초미세먼지 직접 배출원 중 선박이 약 8%를 차지하는 등 항만지역에 대한 대기오염물질 관리가 시급하다.
특히 인천항은 수도권 항만 물동량의 대부분을 담당해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이 많다.
시 관계자는 “인천은 드론 비행장과 드론 인증센터의 입주가 예정돼 있어 드론 관련 인프라가 상당하다”며 “드론실증도시 사업을 통해 인천 미세먼지에 대응하고, 드론 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토부는 5월 중으로 공모사업 수행을 위한 2개 광역자치단체를 선정한다.
주재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