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정부, 청와대가 12일 고위 당정협의를 열고 처리가 시급한 추가경정예산안 및 민생경제법안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예정이다.
특히 당정청은 자유한국당의 장외 투쟁으로 논의가 멈춰버린 ‘국민안전’과 ‘경기대응’을 위한 추경안의 처리 방안을 집중 논의한다. 이는 재해 추경과 비(非)재해 추경의 분리를 주장하는 한국당과 민주당의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리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앞서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는 지난 1일 “미세먼지·산불·포항지진 등 재해 관련 추가경정예산안은 국회가 막혀 있어도 하겠다”면서 “그러나 재해추경이 분리되지 않으면 논의조차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이인영 신임 원내대표는 8일 원내대표 선출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고 “나 원내대표가 재해 추경 (분리를) 얘기했는데 여기에 플러스 알파가 있었으면 좋겠다”며 “그러면 우리가 협상할 접점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당 주장처럼 패스트트랙 추진을) 백지화하라는 게 가능한 이야기도 아니고, (한국당에) 굴복하고 들어오라는 것도 가능한 게 아니다”라며 “선거제·개혁 법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과정에서 생긴 갈등을 어떻게 치유할지에 대해 진지하게, 정성껏, 예의 바르게 해법을 찾는 노력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고위 당정청회의는 이 신임 원내대표의 첫 공식 데뷔 자리가 될 전망이다. 20대 국회 마지막 원내 협상 및 정책을 주도할 이 신임 원내대표는 한국당과의 협의를 이끌어내면서도 당정청 간 원활한 소통 창구가 돼야 하는 막중한 책임을 맡게 된다.
한편 고위 당정청회의에는 이해찬 대표와 이 신임 원내대표, 윤호중 사무총장(구리), 조정식 정책위의장(시흥을), 이낙연 국무총리와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이, 청와대에서는 김수현 정책실장, 강기정 정무수석, 윤종원 경제수석이 등이 참석한다.
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