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광역버스 노조 15곳이 전원 ‘버스 파업’에 나서기로 결의하면서 이르면 오는 15일부터 광역버스 589대가 멈춰 설 전망이다.
더욱이 다음달 도내 36곳의 시내버스 노조도 임금 및 근로시간 교섭에 나설 것으로 예상돼 파업 규모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9일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경기자노)에 따르면 이날 진행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7개 광역버스 노조(경기고속ㆍ파주선진ㆍ대원고속ㆍ대원운수ㆍ경기운수ㆍ경기여객ㆍ신일여객)가 재적조합원 대비 평균 99%의 찬성률을 보이며 파업을 결의했다. 앞서 나머지 8개 광역버스 노조(경남여객ㆍ경기상운ㆍ진흥고속ㆍ진명여객ㆍ신성교통ㆍ선진시내ㆍ보영운수ㆍ경기버스)는 전날인 8일 찬반투표에 나서 파업을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도내 15개 준공영제 광역버스 노조 모두가 파업에 나서기로 결의, 이르면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기간이 끝나는 15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다음달 도내 71곳의 시내버스업체 가운데 절반가량인 36개 업체가 임금 및 근로시간 교섭에 나설 것으로 알려지면서 파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이들 시내버스업체는 준공영제에 참여하지 않고 있어 준공영제를 시행 중인 광역버스업체와 달리, 임금 조정과 인력 충원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탓에 교섭이 더욱 어려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도내에는 오는 7월1일부터 주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해야 하는 300인 이상 사업장(21곳)이 전체 시내버스의 61%인 약 6천500대를 운행하고 있어 교섭결과에 따라 대규모 버스 대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도는 이들 업체가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맞춰 ‘격일제’에서 ‘1일 2교대제’로 전환하려면 2천500∼4천 명의 버스기사가 충원돼야 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경기자노 관계자는 “경기도 준공영제 광역버스 노조 15곳이 모두 파업에 동참하기로 함에 따라 이르면 오는 15일부터 파업에 돌입할 수 있다”며 “광역버스 뿐만 아니라 시내버스 노조의 교섭이 결렬되면 파업 규모는 더욱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채태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